[ 임상영양학 ] 7. 신장 질환
신장 질환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의 구조 신원 (네프론) : 신장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 신소체 사구체, 보먼주머니 세뇨관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 집합관 신장의 기능 배설기능 (1) 여과 : 혈장성분이 사구체와 보먼주머니를 통해 여과 - 수분, 작은 용질 : 투과 O - 혈액세포, 대부분의 단백질, 큰 분자 : 투과 X (2) 세뇨관 재흡수 : 여과된 성분 중 수분, 포도당, 아미노산, 전해질 등은 필요에 따라 세뇨관에서 재흡수됨 (3) 세뇨관 분비 : 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질 중 체내 노폐물, 이물질, 약물 등이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에서 세뇨관 내강으로 이동 → 소변 생성 - 단백질 대사물질(요소, 요산, 크레아티닌 및 기타 질소)은 신장을 통해 배설 - 부하량 : 신장을 통..
더보기
[ 임상영양학 ] 6. 담도계, 췌장 질환
담도계, 췌장 질환 담도계 담낭의 구조와 기능 기능 (1)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농축, 저장, 분비 (2) 담낭에 저장된 담즙은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 담즙의 주요 구성성분 콜레스테롤, 빌리루빈, 담즙산염, 단백질, 인지질 등 - 빌리루빈 : 담즙 색소, 파괴된 적혈구의 헤모글로불린으로부터 유리됨 - 담즙산염 : 간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 담즙의 체내 작용 (1)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의 소화흡수를 도움 (2) 면역 글로불린을 함유하여 소장 내 점막의 항상성 유지 (3) 구리와 망간 같은 무기질의 주요 배출 경로 담낭 질환 담석증 : 담낭과 담도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담낭이나 담도에 결석이 형성된 것 원인과 증상 (1) 담석은 담즙 내 구성성분이 응결, 침착되어 형성된 결정성 구조물로..
더보기
[ 임상영양학 ] 4. 장 질환
장 질환 장의 구조와 기능 소장의 구조 위의 유문과 연결된 6~7m 정도 되는 기관으로 처음 20~30cm 는 십이지장, 나머지 소장의 2/5 는 공장, 3/5는 회장 이라고 부른다. 소장은 원형주름으로 이루워져 있고, 그 면적에는 융모가 있으며 융모의 겉에는 미세융모가 있다. 이것들이 소장의 실질적 면적이나 마찬가지이며, (미세)융모를 통해 영양소가 흡수된다. 소장의 기능 - 연동운동, 분절운동 - 영양소의 소화 및 흡수 십이지장, 공장 : 단당류, 지방, 아미노산, 무기질, 대부분의 비타민 등 회장 : 담즙산, 비타민 B12 - 소장에서 흡수되고 남은 물은 대장에서 흡수됨 대장의 구조 대장의 기능 - 일부 수분과 나트륨 같은 전해질 흡수 - 액체성 회장 내용물을 반고형성 변으로 전환 - 변을 저장하고..
더보기
[ 임상영양학 ] 3. 식도 및 위 질환
식도 및 위 질환 식도와 위의 구조와 기능 1. 식도의 구조와 기능 [ 소화기계 ] (1) 소화관 : 입, 인후 식도, 위, 소장 (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 (맹장, 결장, 직장), 항문 (2) 부속 소화기관 : 타액선, 간, 췌장, 담낭 [ 식도의 구조와 기능 ] 식도 : 인두로부터 위까지 연결된 관 상부식도괄약근 : 식도나 위로의 공기 유입 방지 하부식도괄약근 :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 기능 :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로 이동 2. 위의 구조와 기능 [ 위의 기능 ] (1) 운동기능 : 음식물이 잘 섞이고 부서지게 하여 부드럽게 만듬 (죽처럼) (2) 저장기능 : 죽 상태의 음식물이 위에 일시적으로 저장됨 (3) 살균기능 : 위액(무색투명, 점성, 강산성(ph 1~2 정도)..
더보기
[ 임상영양학 ] 2. 환자의 영양공급방법
환자의 영양공급방법 경장영양 1. 경장영양의 장점 및 적용지침 - 의학적 치료를 목적으로 위장관을 통한 영양액 공급방법 - 위장관 기능은 정상이나 구강을 통한 섭취량이 필요량보다 크게 부족한 경우 사용 * 소화흡수기관은 정상이나 영양소 섭취량이 필요량의 2/3 ~ 3/4 정도일 때 장점 위장관 방어벽의 정상적인 유지를 도움 정맥영양방법에 비해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률이 낮음 환자의 대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음 저비용 적용대상 - 대사항진 : 주요수술 후, 패혈증, 외상, 회상, 장기 이식 등 - 신경계 질환 : 뇌혈관질환, 연하곤란, 두부 외상 등 - 위장관 질환 : 단장증후군(회맹판 정상, 공장 최소 100cm, 회장 최소 150cm), 염증성 장 질환, 췌장염, 식도폐색 등 * 단장증후군 : 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