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질환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의 구조
신원 (네프론) : 신장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
신소체
사구체, 보먼주머니
세뇨관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 집합관
신장의 기능
배설기능
(1) 여과 : 혈장성분이 사구체와 보먼주머니를 통해 여과
- 수분, 작은 용질 : 투과 O
- 혈액세포, 대부분의 단백질, 큰 분자 : 투과 X
(2) 세뇨관 재흡수 : 여과된 성분 중 수분, 포도당, 아미노산, 전해질 등은 필요에 따라 세뇨관에서 재흡수됨
(3) 세뇨관 분비 : 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질 중 체내 노폐물, 이물질, 약물 등이 세뇨관 주위 모세혈관에서 세뇨관 내강으로 이동
→ 소변 생성
- 단백질 대사물질(요소, 요산, 크레아티닌 및 기타 질소)은 신장을 통해 배설
- 부하량 :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노폐물의 양
- 사구체의 여과력이 저하되면 혈액 내에 노폐물 축적 → 신장기능 저하 시 혈중 크레아티닌, 요소 수치 상승
체액의 평형 유지
나트륨, 칼륨, 염화이온 등의 전해질 농도 조절과 수소이온의 배설 조절을 통해 산, 염기의 평형 유지 작용
→ 신장기능 저하 시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유발로 소변량 감소, 부종, 고혈압 등 발생 가능
혈압 조절
(1) 혈액량이나 혈압의 저하 → 신장에서 레닌 분비
(2) 레닌 : 안지오텐시노젠 → 안지오텐신 1 으로 전환
(3) 안지오텐신 1 → 안지오텐신 2 : 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
(4) 알도스테론 : 신장의 세뇨관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시켜 체액을 늘려 저하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함
→ 신장병의 진행은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의 이상발현을 유발
조혈 조절
(1) 골수에서 적혈구의 생성을 자극하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을 생성
(2) 만성 신부전 환자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의 감소로 인해 빈혈이 발생
무기질 평형 유지
신장은 칼슘, 인, 비타민D의 대사에 관여함으로써 무기질의 평형을 유지시킴
- 신장에서 25(OH)D3 → 1,25(OH)2D3로 전환
- 1,25(OH)2D3 : 장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 증가 / 뼈에서의 칼슘 흡수를 촉진시키는 작용
신장 질환 검사
소변검사
(1) 육안이나 현미경적으로 소변 속에 존재하는 물질을 확인
(2) 단순하고 저렴
(3) 요색, 요비중, pH를 측정
(4) 요성분 중 단백질, 당, 케톤,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 등의 유무 확인
생화학 검사
(1) 사구체 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 신장의 청소율을 반영하는 지표
(2) 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농도
: 사구체 여과율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검사지표
(3) 그 외 다양한 생화학 검사
: 영양상태, 빈혈, 골이영양증, 고인산혈증 및 고칼륨혈증 등 진단
방사선 검사
경정맥 신우 조영술, 초음파 검사, CT, MRI 등
신장 질환별 영양관리
신증후군
: 사구체가 손상되어 혈청 단백질의 투과율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증상
원인
감염,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 면역 질환, 유전 질환, 당뇨, 간염, 악성종양 등
증상
영양관리
- 혈압을 조절하고 부종을 경감시키며, 충분한 에너지 공급을 통해 근육의 이화작용 예방
- 요단백의 손실을 줄이고 단백질 영양불량을 치료하며 신장 질환의 진행을 지연
(1) 단백질
- 지나친 고단백식 : 사구체 손상을 유발시켜 신장 질환의 진행을 가속화시킬 수 있음
- 단백질 손실로 인한 체단백 분해를 막고 신장기능을 보호
- 가능한 질소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함
- 생물가가 높은 양질의 다백질 섭취
(2) 에너지
- 에너지 섭취 부족은 체단백질의 분해를 유발하여 저알부민혈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체중과 단백질 절약작용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 제공
- 체중 감소나 감염 증세가 있는 경우 에너지 섭취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
(3) 나트륨과 칼륨
- 신장기능을 보존하고 부종을 조절하기 위해 나트륨 섭취 제한
- 이뇨제 사용으로 저칼륨혈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하여 섭취량을 결정
(4) 지질과 콜레스테롤
- 혈중 지질의 상승이 지속되면 동맥경화증과 급성 심근경색의 위험을 높임
- 저콜레스테롤식, 저포화지방식
- 낮은 단순당의 섭취
(5) 비타민과 무기질
- 비타민 D와 칼슘 보충제 : 골 손실과 구루병 예방
- 단백질 배설과 함께 아연, 철분, 구리 등도 손실되므로 필요 시 종합비타민 처방
만성신부전
: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으로 신장기능의 저하가 일어나는 질환
원인
(1) 만성 신부전의 주요 3대 원인 : 당뇨병, 고혈압, 만성 사구체신염 (만성신장염)
(2) 신독성 약물, 결석, 종양,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같은 혈관 질환 등
(3) 신장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손상되면 대부분의 경우 사구체 여과율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점차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됨
(4) 신장 질환의 원인이 소멸된 뒤에도 신장 손상이 계속되어 말기 신부전으로 이행됨
증상
체액이나 전해질의 불균형, 단백질 대사산물의 체내 축적, 신장의 내분비 및 대사 기능의 장애 등
- 요독증 : 사구체 여과율 감소, 혈중 요소질소(BUN)와 크레아티닌 상승
- 부종 및 고혈압 : 사구체 여과율 감소로 인한 나트륨 체내 저류
- 산중독증 : 전해질의 불균형과 수소 이온의 배설 저하로 나타남
- 고칼륨혈증 : 칼륨 배설 장애
- CKD-MBD (만성콩팥병-미네랄뼈질환) : 칼슘 및 인 대사 장애, 부갑상선기능항진증, 비타민 D 대사 이상
- 빈혈 : 에리스로포이에틴의 생합성 감소
- 단백질-에너지 결핍성 영양불량 : 섭취 불량 / 영양소 손실 / 동반된 이화성 질병 등
영양관리
- 나트륨 섭취량 제한으로 부종을 예방하고 혈압을 조절
- 충분한 에너지 공급으로 근육 이화작용 예방
- 단백질 섭취량 제한으로 혈액 내 질소 분해 산물의 축적과 요독증을 예방하여 신장 질환의 진행을 지연
(1) 에너지
- 영양불량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필요
- 효과적인 단백질의 체내 이용을 가능하게 함
(2) 단백질
- 신장의 노폐물 부하량 감소 및 요독증 예방을 위해 신장기능에 따라 제한
- 질소 노폐물의 생성 감소 및 체내 단백질의 효율의 향상을 위해 단백질 섭취량의 50%이상은 생물가가 높은 단백질(우유, 계란, 생선류, 육류)로 구성
(3) 나트륨
- 혈압 조절, 부종 치료, 체액 과다의 예방 및 치료 등을 위해 저염식이 필수
- 염화칼륨 함유 소금 대용품의 사용 주의
(4) 칼륨
- 고칼륨혈증 예방, 치료를 위해 1일 칼륨 섭취량 제한
(5) 칼슘과 인
- 신장기능 저하로 인의 배설 감소 → 고인산혈증
- 신장기능 저하로 활성형 비타민 D 감소 → 혈중 칼슘 농도 저하
→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골형성 저하, 골파괴 증가) → 신성 골이영양증
- 만성 신부전 초기부터 인 섭취 제한이 요구됨
- 칼슘과 인의 균형 유지 : 인의 조절, 칼슘을 건강인보다 더 많은 양을 섭취
(6) 비타민과 무기질
- 수용성 비타민과 철분 등의 섭취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의 보충 필요
- 신장기능의 저하로 활성 비타민 D가 부족할 경우 이를 공급
(7) 지방
- 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버터, 치즈, 크림, 육류 섭취 제한
'식품영양학 > 임상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상영양학 ] 9. 심혈관계 질환 (1) | 2024.02.06 |
---|---|
[ 임상영양학 ] 8. 신장 질환 2 (2) | 2024.02.03 |
[ 임상영양학 ] 6. 담도계, 췌장 질환 (0) | 2024.02.01 |
[ 임상영양학 ] 5. 간 질환 (2) | 2024.01.28 |
[ 임상영양학 ] 4. 장 질환 (1) | 202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