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영양학 ] 21. 면역계 질환
면역계 질환 면역체계 1. 면역 면역 : 질병으로부터의 보호 / 감염의 병적 조건의 시작에 대항하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 저항성 항체 : 감염이나 면역에 대한 반응으로 형질세포에서 만들어지며, 특이적인 항원에 결합할 수 있음 항원 :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모든 물질 2. 면역 조직과 면역세포 면역조직 - 1차 림프 조직, 중앙 림프 조직 : 면역세포가 생성되고 성숙되는 장소 / 흉선 (T 림프구), 골수 (B 림프구) - 2차 림프 조직, 말초 림프 조직 : 림프구가 항원에 노출되어 반응을 하고 활성화 되는 장소 / 림프절, 비장, 장연관 편도, 파이어스 패치, 총수돌기 등 면역세포 (1) 림프구 - T 림프구 : 보조 T 림프구, 세포독성 T 림프구, 조절 T 림프구 / 항원 특이성 O - ..
더보기
[ 임상영양학 ] 20. 감염성 질환, 수술 및 화상 환자
감염성 질환, 수술 및 화상 환자 대사적 스트레스 - 외상, 화상, 감염, 수술 등에서 주로 발생 - 이화반응을 통한 항상성 유지, 체조성 변화 (1) 초기반응 저혈량증, 대사율 감소, 체온 저하, 심박출 저하 등 (2) 적응기 - 대사항진기 - 심박출, 체온 및 산소 소비의 증가, 체단백질 분해 증가 1. 기아와 대사적 스트레스 시의 반응 대사적 스트레스 - 인슐린, 글루카곤, 카테콜아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증가 - 지속적인 체단백질 분해를 통한 포도당 신생합성 - 알도스테론, 항이뇨 호르몬 분비 증가로 스분과 나트륨 체내보유 → 혈액량 증가 - 싸이토카인 활성화 - 급성기 단백질 합성 증가 2. 대사항진 상태에서 영양소 대사 (1) 영양소 대사의 변화 거의 모든 조직의 산소 소비가 증가되고 기초대사량..
더보기
[ 임상영양학 ] 17. 빈혈 (1)
빈혈 적혈구 혈장 세포성분이 떠다니는 용액 부분 (혈액의 55%) 혈장의 대표 성분 수분, 단백질, 용해된 유기분자 (아미노산, 포도당, 지방, 질소, 노폐물), 이온, 비타민, 산소, 이산화탄소 등 혈구 혈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혈액의 45%), 대부분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 - 성숙한 적혈구는 핵이 없고, 유연성을 가짐 -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에 필수 역할을 하는 적색 색소 헤모글로빈 함유 빈혈의 원인 및 진단 빈혈의 원인 빈혈 적혈구의 수적 감소나 크기의 이상 혹은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낮아져서 조직으로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배출 능력이 떨어진 상태 원인 - 정상 적혈구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 부족 (영양성 빈혈) : 철, 비타민 B12, 엽산 등 - 출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