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영양의 이해
임상영양의 이해
1. 임상영양치료의 중요성
질병, 질병으로 인한 식욕부진, 소화장애, 소화기 염증 및 수술, 약제사용 등으로 인한
식품섭취 감소 / 흡수저하 / 영양소 대사 변화 가 발생하고
최근에는 당뇨, 고혈압 등의 과잉 섭취와도 관련이 있는 질병이 발생한다.
결국, 면역기능 저하 및 질병의 회복 지연 등이 발생 된다.
때문에 환자 개인별 영양문제의 조기 발견을 통해 증상 및 치료방법에 따라 적절한 임상영양관리 수행이 필요하다.
< 임상영양학의 목적 >
- 영양소의 결핍이나 과잉으로 유발되는 질병을 예방 / 치료
- 질병에 따른 대사장애를 교정함으로써 질병 치료에 도움
2. 임상영양치료 방법
(1) 전문적인 영양관리
- 환자의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하여 신체기능을 정상화
-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향상
(2) 임상영양관리
-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영양전문인이 체계적인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이행하는 총체적인 영양치료 서비스
- 표준화된 영양관리 과정 (Nutrition Care Process, NCP)
- 영양판정, 영양진단, 영양중재, 영양 모니터링 및 평가
3. 병원식의 이해
(1) 일반식
- 특정한 영양소의 제한이나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환자에게 제공
- 상식, 연식, 유동식 (일반 유동식, 맑은 유동식)
* 상식
- 질병치료 상 특별한 식사 조절이나 제한이 필요하지 않는 환자에게 이용
-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을 기초로 하여 기초 식품군을 배합하여 균형식이 되도록 함
* 연식
- 유동식에서 상식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식사
- 소화기능이 저하된 환자, 치아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 등에 제공
* 유동식
- 씹거나 삼키거나 소화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구강으로 액상음식으로 제공 (미음식)
- 수술이나 금식 후 일시적으로 소화기능이 떨어졌을 때 제공
- 일반유동식 : 수술 후 회복기 환자들에게 맑은 유동식에서 연식으로 넘어가기 전 단계 식사로 이용 (위장관 기능 감소, 급성 감염, 고열, 식도장애 등)
- 맑은 유동식 : 수술 및 검사 전후 환자, 정맥영양 후 경구 섭취를 시작하는 환자에게 제공 (위장관 자극 최소화, 탈수방지, 갈증해소)
- 영양소의 부족이 예상되므로 영양보충없이 3일 이상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2) 치료식
- 증상 완화 및 질병 치료를 위해 제공되는 식사
- 당뇨병식, 신장질환식, 저염식 등
- 개인의 질병상태를 고려하여 해당 질환의 식사원칙 준한, 질환 치료의 영양 기준량에 맞춘 식단
'식품영양학 > 임상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상영양학 ] 6. 담도계, 췌장 질환 (0) | 2024.02.01 |
---|---|
[ 임상영양학 ] 5. 간 질환 (2) | 2024.01.28 |
[ 임상영양학 ] 4. 장 질환 (1) | 2024.01.28 |
[ 임상영양학 ] 3. 식도 및 위 질환 (1) | 2024.01.22 |
[ 임상영양학 ] 2. 환자의 영양공급방법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