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식품영양학/영양판정

[ 영양 판정 ] 7. 신체계측판정 (1) - 성장의 측정 신체계측판정 (1) - 성장의 측정 1. 신체계측의 개요 말 그대로 특정 몸 부위의 둘레를 측정하거나 몸무게나 키를 측정하거나 체성분 측정 (인바디 내의 정보들) 을 하거나 등.. 말 그대로 신체조성 측정을 말함 신체계측의 장단점 + 간단, 안전하고 부담이 적어 대상자 수가 많아도 활용 가능 + 장기간의 영양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 + 스크리닝(선별) 검사에도 사용 - 신체계측 결과 분석이 어려움 : 원인이 되는 영양소를 특정하기 어려움 비교 기준치 계측치 (measurement) : 신장, 체중 등 지수 (index) :계측치로부터 환산 : 체질량지수(BMI) 등 2. 성장측정 기본 신체계측치 가장 쉽게 측정할 수 있고 기본이 되는 신체계측치 (신장, 체중, 머리둘레 등) 신장의 측정 - '프랑크푸르트 .. 더보기
[ 영양판정 ] 6.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0.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식품기반의 식생활 지침 (FBDG)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영양소 섭취기준을 일반인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함 - 영양소 선택이나 분량 가늠이 어렵고, 보통 식품의 형태로 섭취하기 때문 1. 식생활지침 목적 및 추진 경과 -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 목적 - 구체적인 식생활 실천 가이드라인 제시 - 국가별 식생활지침의 제정 및 개정 진행 중 - 영양교육 자료 개발, 정책 추진, 영양상담의 효과적 도구로 활용 - 2021년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을 5년마다 개정 중 ㄴ 뭐 먹자, 뭐 먹지 말자, 뭐 꼭 하자, 뭐 절제 하자 등.. 2. 식사구성안 개념 - 일반인이 복잡한 영양소 계산 없이 영양소 섭취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식.. 더보기
[ 영양판정 ] 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에너지 및 다량 영양소 (1) 에너지 에너지 필요추정량 (EER) (* 성인 기준이며, 성장기에는 추가적인 값 존재) - 평균 필요량에 해당하는 개념 - 에너지는 권장섭취량 개념 적용 X (비만 예방) - 표준체위와 저활동 기준으로 산출 → 개인별 산출도 가능 (2) 탄수화물 - 에너지 적정비율(AMDR) : 1세 이상 모든 국민 55~65% - 평균 필요량 100g, 권장섭취량 130g (2020 시작/제정) - 섭취 부족시 케톤산 혈증 우려 (3) 당류 - 주요 급원: 설탕, 액상과당, 물역, 시럽, 농축과일주스 등 - 식품에 내재된 당 + 조리/가공시 첨가된 당(첨가당) = 총당류 - 총 당류 10~20%, 첨가당 10% 넘지 않게 주의 - 총 당류의 에너지 섭취비율 2.. 더보기
[ 영양판정 ] 4.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요 및 제정방법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요 및 제정방법 1.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요 영양소 섭취기준 (Dietary reference intakes : DRI) : 에너지 및 여러 영양소의 적정 섭취량을 나타낸 것 예전 영양권장량(RDA) 만으로는 파악하기 힘들었던, 과잉섭취 및 섭취불균형 등으로 인한 만성질환을 고려하여 제정한 것이다. 2. 영양소 섭취기준의 역사 2005년 첫 제정 (1차) : 한국인에 맞는 ! 현재는 약 5년 정도 기준으로 개정 / 업데이트 3. 영양소 섭취기준의 법적 근거 국민영양관리법 : 보건복지부장관은 국민건강증진에 필요한 영양소 섭취기준을 제정하고 정기적으로 개정하고 체계적으로 여러 기관에 보급하여야 한다. 또한 해당 기관 및 사업과 교육 등에서 영양소 섭취기준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 더보기
[ 영양판정 ] 3. 식이 측정 조사도구 식이 측정 조사도구 0. 식이 측정 조사도구 목적 - 개인의 일상 섭취량 추정 - 서로 다른 집단 간 평균섭취량 비교 - 집단 내 개인의 섭취량 순서화(서열화) 조사도구 일별 : 24시간 회상법, 식사기록법 장기간 : 식품섭취빈도조사 1. 24시간 회상법 : 숙련된 조사원이 전날 섭취한 모든 식품의 종류와 양을 기억하도록 하는 방법 : 한국, 미국 등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도입됨 : 전화 인터뷰도 가능 (사전자료 미리 배부 필요) : 소요시간 약 15~20분 : 조사원은 식품재료의 구성 및 눈대중량 가늠에 능숙해야 함 : 실제 섭취했으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의 최소화가 필요 ('과소보고' 최소화) → '자동다중단계방법(AMPM)' -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에서 활용 1. 빠른 목록 (뭘 먹었는지.. 더보기
[ 영양판정 ] 2. 식이측정의 중요성 및 고려사항 식이측정의 중요성 및 고려사항 1. 식이 측정의 이유 식이(diet) 측정이란? - 관심이 있는 영양소 또는 특정 미량 성분의 섭취량 산출 - 어떤 식품의 섭취가 어떤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어떤 식품의 섭취 → 식이 측정으로부터 산출 ex)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의 산출과 모니터링 / 정부의 정책수립 및 평가 / 역학연구의 수행 / 그 외 상업적인 목적 (1)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의 산출과 모니터링 - 개인이나 집단 섭취량의 적절성 평가 - 영양소 외 독성물질이나 식품첨가물에도 활용 (2) 정부의 정책수립 및 평가 - 건강증진 정책 또는 식량 정책 : 식품의 수입/수출량 조절 및 우선 순위 설정에 용이 : 식품 지원이 필요한 계층 구분 → 복지정책 입안에 근거자료 : 영양표시제 등의 규제 정책 :.. 더보기
[ 영양판정 ] 1. 영양판정의 개요 영양판정의 개요 1. 영양결핍에서 만성질병으로 과거의 영양결핍증 : 예전 20세기 중반까지 여러 영양결핍증으로 건강에 위협 ex) 비타민D 결핍 - 구루병 니아신 결핍 - 펠라그라 티아신 결핍 - 각기병 비타민 A 결핍 - 안구건조증 등 최근의 영양결핍증은 크게 감소 : 최근 농업기술의 발달, 영양소 강화 등으로 선진국 중심으로 감소 만성질병(chronic disease) : 결핍과 다르게 과도한 식사섭취 또는 섭취의 불균형과 관련하여 발생 - 개인/집단의 영양상태 파악이 중요 - 영양적 위험도 판단으로 해결 방법 결정 필요 - 영양판정의 중요성 제기 2. 영양판정의 정의 - 영양판정 : 식이섭취 또는 영양과 관련된 지표를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개인과 집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양문제의 가능성과 그 ..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