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계측판정 (1) - 성장의 측정
1. 신체계측의 개요
말 그대로 특정 몸 부위의 둘레를 측정하거나 몸무게나 키를 측정하거나 체성분 측정 (인바디 내의 정보들) 을 하거나 등.. 말 그대로 신체조성 측정을 말함
신체계측의 장단점
+ 간단, 안전하고 부담이 적어 대상자 수가 많아도 활용 가능
+ 장기간의 영양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
+ 스크리닝(선별) 검사에도 사용
- 신체계측 결과 분석이 어려움 : 원인이 되는 영양소를 특정하기 어려움
비교 기준치
계측치 (measurement) : 신장, 체중 등
지수 (index) :계측치로부터 환산 : 체질량지수(BMI) 등
2. 성장측정
기본 신체계측치
가장 쉽게 측정할 수 있고 기본이 되는 신체계측치 (신장, 체중, 머리둘레 등)
신장의 측정
- '프랑크푸르트 수평면' 유지하기.. 그냥 그런 게 있다. 대강 머리/얼굴 수평을 유지하기 위 것으로 알자.
- 선 키를 보통 측정 : 만 2~3세부터 측정 가능 / 0.1cm 단위까지 측정
- 누운 키 : 똑바로 혼자 설 수 없는 아기들 / 프랑크푸르트 수평면 유지 동일 / 병원에서 보통 측정
체중의 측정
- 측정 전 영점 확인
- 일간 변화가 존재하므로 측정 시각 및 몸 상태 기록 권장
3. 성장상태의 판정
성장상태 판정의 목적
개인 : 정상성장도표와 비교하여 건강 및 영양상태 평가
집단 : 집단의 영양상태 및 보건 수준을 가늠하기 위한 척도
세계보건기구(WHO)의 성장도표
- 연령 대비 신장, 연령 대비 체중, 신장 대비 체중, 연령 대비 BMI 등
- Z 스코어 (표준편차점수) : 측정치가 평균 및 중앙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의 지표
세계보건기구(WHO)의 성장도표를 활용한 판정
- 성장부전 (발육부진, stunting) : 연령대비 너무 작은 키 / Z 스코어 -2 이하 / 만성적으로 영양 섭취 부족이 원인
- 쇠약중 (체력저하, wasting) : 신장대비 너무 적은 체중 / Z 스코어 -2 이하 / 급격한 체중 감소(급성 기아) 및 심각한 질병이 원인
- 저체중 (underweight) : 연령대비 너무 적은 체중 / Z 스코어 -2 이하 / 단순 저체중을 시사
- 과체중 (overweight) : 신장대비 너무 과한 체중 / Z 스코어 +2 이상
우리나라의 소아 및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 2017년 소아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활용
- 만나이로 표시하며 3세 미만과 3~18세로 구분
- 백분위수(Percentile)로 제시
- 저신장 : 3백분위수 미만
- 저체중 : 5백분위수 미만
- 과체중 : 85백분위수 이상 - 95백분위수 미만
- 과체중 : 95백분위수 이상 (* 다른 건 연령대비, 이건 신장대비)
- 비만 : 95백분위수 이상
'식품영양학 > 영양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양 판정 ] 9. 생화학적 판정 (1) (0) | 2023.10.03 |
---|---|
[ 영양 판정 ] 8. 신체계측판정 (2) - 신체조성의 측정 (0) | 2023.09.28 |
[ 영양판정 ] 6.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0) | 2023.09.24 |
[ 영양판정 ] 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 2023.09.15 |
[ 영양판정 ] 4.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요 및 제정방법 (0)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