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계측판정 (2) - 신체조성의 측정
1. 피부두겹두께법
신체조성
- 체지방량(body for mass)과 제지방량(fat free mass)으로 구분
- 제지방은 지방을 제외한 근육, 체수분, 골격 등 포함
성별, 인종, 연령, 신체활동, 기후 등에 영향
- 골밀도 백인 < 흑인
- 신체활동 증가시 제지방량 증가 등
피부두겹두께법 (skinfold thickness)
- 캘리퍼(caliper)라는 기구를 이용
- 수중체중 측정법 결과와 상관관계가 높음
- 장비가 싸고 작으며 측정법이 간단하고 빠름
- 개인의 체지방 분포 및 측정자의 기술 정도에 따라 정확도 영향
피부두겹두께 측정부위
가슴
- 앞쪽 겨드랑이가 접히는 부위 ~ 젖꼭지에 이르는 축을 따라 측정
- 잡은 손끝에서부터 1cm 떨어진 곳 측정 / 남녀 동일
삼두근 (가장 많이 측정하는 부위)
- 측정 용이
- 팔을 90도로 접었을 때, 팔 뒤 어깨 꼭짓점과 팔꿈치 중간부
견갑골 하부
- 견갑골 안쪽 각진곳의 가장 밑부분 아래 1cm 부위 측정
옆중심선 부위
- 오른쪽 옆중심선과 흉골검결합 부위가 만나는 지점
장골상부
- 장골(엉덩이뼈) 위와 옆중심선이 만나는 지점
복부
- 배꼽 중간에서 3cm 오른쪽, 1cm 아래지점 수평으로 측정
허벅지
- 사타구니 접히는 부위와 무릎뼈 사이의 중앙부분
장딴지
- 의자에 앉아 무릎을 90도 구부린 후 최대 종아리 둘레 위치 (종아리 안쪽)
* 피부두겹두께를 한 부위만 한다면 삼두근 측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나, 체지방률 추정이 어렵기 때문에 두 부위를 측정하며, 삼두근과 견갑골하부 or 장딴지의 피부두겹두께 합을 이용 ! (여러 부위를 할수록 당연히 객관적) / 계산된 실체밀도를 브로젝 또는 시리 계산식을 통해 체지방률 산출 !
2. 밀도법, 생체전기저항측정법
밀도법
- 몸 전체의 밀도를 측정하여 체조성을 알아내는 방법
- 밀도 = 단위 부피당 질량
- 보통 수중체중 측정법을 사용
수중체중 측정법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체밀도 측정법
-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근거
수중체중 측정법의 원리
- 몸의 질량과 부피를 아는 경우 신체밀도 계산이 가능
- 인체는 지방과 제지방으로 구성
- 지방조직의 밀도보다 제지방조직의 밀도가 높음
- 체지방이 많은 사람이 물속 체중이 적음
- 장비 및 숙련자 등의 제한점이 많음
생체전기저항측정법 : BIA :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제지방조직과 지방이나 세포막 같은 비전도성 조직의 전류전달 차이를 이용한 측정
- 사람에게 무해한 약한 전류를 통해 저항을 측정
- 쉽고 편리하며 안전
3. 그 외 방법들
총체수분량 측정법
- 수분은 주로 제지방 조직에 존재 (평균 수분함량은 약 73.2%)
- 총 체수분을 측정하여 체지방량을 계산할 수 있음
- 비만인은 제지방조직의 수분함유량이 높은 경향이 있어서 체지방량 산정 시 실제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음
총칼륨량 측정법
- 칼륨 : 세포내액의 주요 양이온
- 체내 칼륨의 90% 이상이 제지방 조직에 존재
- 체내 칼륨의 0.012% : 칼륨 동위원소 (극미량의 감마선 방출)
- 성별, 연령, 비만 여부 등에 따라 칼륨 농도에 차이 존재
- 비만인 경우 제지방 칼륨 함유량이 낮은 경향
- 비용이 많이 들고 훈련된 기술이 필요
이중에너지방사선흡수계측법(DEXA : DXA)
- 골다공증 진단을 위한 골밀도의 측정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지방량과 제지방량 측정에 사용
- 지방에 흡수가 잘 되는 에너지를 가진 X선과 그렇지 않은 X선의 각각이 남긴 영상의 차이를 컴퓨터로 분석해서 측정
- 빠르고 안전하며 재현도와 정밀도가 높지만, 그만큼 고가의 장비가 요구됨
'식품영양학 > 영양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양판정 ] 10. 생화학적 판정 (2) (1) | 2023.10.22 |
---|---|
[ 영양 판정 ] 9. 생화학적 판정 (1) (0) | 2023.10.03 |
[ 영양 판정 ] 7. 신체계측판정 (1) - 성장의 측정 (0) | 2023.09.28 |
[ 영양판정 ] 6.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0) | 2023.09.24 |
[ 영양판정 ] 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1)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