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판정의 국제동향
[ 1 ] 전 세계의 영양상태 동향
1.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 국제연합(UN) 산하의 전문기구
- 영양상태와 식량 및 농업에 관한 정보를 수집, 분석, 판단, 보급, 연구
- 농산물협정 등의 국제정책 채택 및 각 나라가 요청하는 기술원조 등을 제
2. 영양불량 및 식이 에너지 공급량
FAO 통계연감
- FAO에서 매년 발간하는 통계책자
- 영양불량, 식품이용성 및 접근가능성, 영양공급 등
- 영양불량 및 식이에너지 공급은 영양판정과 직접적 관련
영양불량자 비율
- 지속적으로 감소했다가 2019년 코로나 이후부터 상승
- 전 세계에서 약 10%는 영양불량
- 북아메리카, 유럽은 2.5%미만 (매우 낮음)
- 아프리카 20%이상 (가장 높음)
식품으로부터의 에너지 공급량
- 국가별로 산출된 식품수급표를 통해 하루 1인당 칼로리를 표현
- 식품수급표를 이용하여 산정
- 섭취량보다 공급량이 더 높게 나옴 (안 먹는 부위 등등)
- 북아메리카, 유럽이 공급량이 가장 높음
- 요 몇 년 간으로 볼 때 아시아의 상승폭이 가장 급격함 (통계 그래프)
3. 영양문제의 양극화
성장부전(stunting) 어린이의 비율 (5세 미만)
- 2000년 33% → 2020년 22%로 10% 감소
- 모든 대륙에서 감소
- 남사하라사막 아프리카 지역 등 아직 50%가 넘는 국가가 존
비만 인구의 비율 (성인)
- 2000년 8.7% → 2016년 13.1%로 4.4% 증가
- 모든 대륙에서 증가
- 북아메리카, 유럽이 비만 인구 비율이 가장 높
로마선언
- FAO에서 WHO와 공동으로
'모든 사람이 기아나 영양실조 없이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신체를 유지하도록 해야한다'
라는 [로마선언] 을 채택
영양문제의 형태
발육부진 (stunting)
체력저하 (wasting)
미량 영양소 결핍
과체중과 비만
[ 2 ] FAO의 영양판정
식이 다양성 (dietary diversity)
- 가구나 개인 수준의 식이 섭취량을 추정하기 위해 도입한 질적인 개념 (구체적인 수치가 개념 X)
- 식이 다양성 점수(dietary diversity score : DDS) 라는 것으로 판정
- 가구수준의 식이 다양성 점수 (HDDS) : 가구에서 여러 식품에 접근할 수 있는 경제적인 능력 등을 측정
- 개인수준의 식이 다양성 점수 (WDDS) : 영양소 섭취 적정도를 점수화하는 것이 목적
식이 다양성 조사지
- 총 16개 식품군으로 구성하며, 섭취하면 1 아니면 0 점으로 기입
식이 다양성 조사의 분석
- HDDS 산출방식 : 식이 다양성 조사지의 식품군을 12개 식품군으로 조정하여 점수 판정 (최대 12점)
- WDDS 산출방식 : 식이 다양성 조사지의 식품군을 9개 식품군으로 조정하여 점수 판정 (최대 9점)
식이 다양성 조사의 활용
(1)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에 대한 인구비율 산출
ex) 24시간 동안 철 섭취가 이루어진 가구나 개인의 비율을 산출
- 단 질적 변수 (점수) 이므로 해당 영양소가 부족할 확률 등의 위험을 계량할 수는 없음
(2) 소집단 간 식품섭취 패턴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
- 식이 다양성 점수에 따른 식품군의 섭취양상을 파악
(3) 국가 간 비교에 사용
ex) WDDS 결과를 통한 세 국가의 식품군 비교
[ 3 ] 미국의 영양판정 현황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NHANES)
- 매년 약 5,000명을 대상으로 미국 전역에서 조사
- 면접조사 : 인구학적/사회경제적조사, 식품섭취조사, 건강관련 설문 등
- 검진조사 : 훈련된 의료진에 의한 생리 및 화학적 측
1. 영양소 결핍 판정
- 미국 국민 약 10% 미만 결핍판정
- 영양소 섭취 결핍은 연령, 성별, 인종에 따라 차이 O
- (결핍 기준의 수치 등은 패스~)
2. 엽산 강화로 인한 엽산 결핍의 감소
- 태아의 신경관결손증을 막기 위해 미국 식약청에서 1998년부터 시리얼에 엽산을 강화한 제품을 허가
- 1998년 이후 미국민의 체내 엽산 농도 증가
3. 비타민 D 결핍과 인종의 관련성
- 혈중 25-하이드록시비타민 D 농도 비교
-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
- 성별에는 차이 없음
- 흑인에게서 결핍율이 가장 높음
4. 혈중 지방산 농도의 측정
- 청장년층에서 혈중 지방산 농도가 낮음
- 성별에 의한 차이는 없음
- 대부분 지방산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EPA와 DHA의 경우 인종에 따른 차이가 있음
5. 새롭게 추가된 철 영양상태 평가지표
- 미국 어린이 : 페리틴 농도 낮음 / 트랜스페린 수용체 농도 높음
- 철 결핍 : 어린이와 가임기 여성 - 위험한 수준, 남성 - 철 과잉 우려
6. 가임기 여성의 요오드 결핍 위험
- 대부분의 식이 요오드는 소변으로 배설 (식이 요오드 섭취량 판정 기준으로 활용)
- 젊은 여성이 가장 낮으며, 어린이가 가장 높음
- 인종 차이 없음
- 1980년대 이후 큰 변화 없음
'식품영양학 > 영양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영양판정 ] 14. 질병예방을 위한 영양판정 (0) | 2023.11.07 |
---|---|
[ 영양판정 ] 13. 환자의 영양판정 (1) | 2023.11.04 |
[ 영양판정 ] 12. 국가 수준의 영양조사 (2) | 2023.11.03 |
[ 영양판정 ] 11. 임상적 판정 (2) | 2023.10.26 |
[ 영양판정 ] 10. 생화학적 판정 (2) (1) | 2023.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