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①
당뇨병의 정의 및 분류
당뇨병
인슐린의 생산이나 작용에 이상이 생겨 고혈당 및 당뇨가 발생하는 질병
제1형 당뇨병
- 췌장 베타세포의 자가면역에 의해 파괴로 발생
- 유년기, 소년기에 발생
- 인슐린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발생하므로 인슐린 치료 필요
제2형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발생
- 연령, 비만 (특히 복부비만), 활동 저하에 따라 발생 위험 증가
- 반드시 인슐린이 필요하지는 않음
- 체중조절과 적절한 운동으로 혈당 조절 가능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
- 과체중
- 직계가족(부모, 형제자매)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력
- 임신성당뇨병이나 4kg 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 고혈압(140/90 mmhg 이상 또는 약제 복용)
- HDL 콜레스테롤 35mg/dl 미만 또는 중성지방 250mg/dl 이상
- 인슐린저항성(다낭난소증후군 등)
- 심혈관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 약물(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
임신성 당뇨병
- 임신 중에 처음 시작되었거나 발견되는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포도당 내성 저하로 발생
- 거대아, 난산, 신생아 골절, 신생아 신경 손상, 신생아 저혈당 등 유발
-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성 증가
당뇨병의 증상
(1) 당뇨 : 혈당이 신장 역치 이상인 경우 당이 신장에서 재흡수되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설
(2) 다뇨, 다음 : 당이 소변으로 배설되면서 다량의 수분을 동반
(3) 다식 : 세포 내 에너지 부족으로 체중이 감소되고 심한 공복감을 느끼게 됨
(4) 체내 인슐린 부족
- 혈당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김 : 고혈당
- 포도당이 세포 내로 유입되지 못함 → 에너지 생성 저하
- 고혈당 시 세포 내 포도당 부족현상 → 포도당 신생합성 촉진
- 지속되는 고혈당으로 인한 다뇨 → 탈수, 뇌와 신경계에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한 이상 현상, 사망
당뇨병 진단방법
한국인 당뇨병 진단 기준
1. 혈당검사
2. C-펩티드 (C-peptide)
- 프로인슐린이 인슐린으로 분해될 때 동일한 양의 C-펩티드가 생성
- 인슐린 분비량 추정
3. 당화혈색소 (HbA1c)
- 당화헤모글로빈, glycated Hb, glycosylated Hb
-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포도당과 결합하여 생긴 분자
- 혈당 → 헤모글로빈 A1c 분자구조 끝에 포도당 결합 → 당화혈색소 증가
-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혈당수준을 반영
4. 요당
- 혈당이 신장의 포도당 재흡수 역치 이상 → 신세뇨관의 포도당 재흡수 불가능 → 당뇨
- 간편하고 신속
당뇨의 합병증
저혈당
: 혈당이 70mg/dl 미만이면서 자율신경항진이나 신경당결핍 증상이 있고 포도당 섭취나 투여로 혈당이 정상으로 회복되면 이러한 증상이 소실됨
증상
- 초기 : 배고픔, 떨림, 식은땀, 가슴 두근거림, 불안감, 어지러움 등
- 진행기 : 심한 피로감, 시력저하, 두통, 졸ㄹ음,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
- 말기 : 경련, 의식상실, 혼수
원인
- 약물요법을 사용하는 환자 : 불규칙한 식사, 식사량 부족, 식사시간 지연, 과도한 운동, 과도한 인슐린 주사 등
-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처방량보다 많이 복용한 경우
당뇨병성 케톤(산)증
: 주로 제1형 당뇨병에서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체내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과정에서 완전히 연소되지 못한 중간 대사산물인 케톤체의 생성이 증가하여 초래되는 산독증
원인
인슐린의 중단 또는 부적절한 투여 등
증상
- 갈증, 구토, 탈수, 식욕부진, 호흡곤란 등
- 호흡 시 과일냄새 (아세톤 냄새)가 심하며 얼굴이 붉어짐
- 심할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고 사망에 이룰 수 있음
고삼투압성 고혈당
: 고혈당(600mg/dl 초과)과 고삼투압은 있으나 대사산증이나 케톤산증은 동반되지 않은 상태
원인
- 감염, 부적절한 인슐린이나 당뇨병약 사용
- 뇌혈관질환, 심근경색증, 외상 등
증상
- 삼투압의 상승에 따른 탈수로 다식, 다음, 다뇨, 빠른 호흡, 저혈압
- 심한 경우 혼수까지 진행
만성 합병증
(1) 혈당 상승으로 인한 세포와 조직 손상
(2) 당 생성물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AGEs(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를 생성하고 세포에 축적되어 혈관 손상
(3) 대혈관 병변(합병증), 미세혈관 병변(합병증), 신경병증
대혈관 병변 (합병증)
- 관상동맥질환, 뇌졸증, 하지 동맥경화증
-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이 동반되어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 HDL 수준 감소
→ 죽상경화성 혈관 질병과 관상동맥 질환의 진행 촉진
- 예방 방법 : 혈당 조절 /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조절하는 식사 조절과 금연
미세혈관 병변
(1) 당뇨병성 신증
- 신장의 모세혈관 손상으로 생기는 질환
- 증상 : 단백뇨 → 사구체경화 초래 → 요독증 → 만성신부전
- 예방 및 지연 : 혈당과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
(2) 당뇨병성 막막병증
- 망막 모세혈관에 생기는 병변
- 증상 : 시력저하, 실명
- 예방 및 지연 : 최적의 혈당, 혈압 및 지질조절
당뇨병성 신경병증
- 말초 신경의 손상은 팔다리로의 신경자극 전달이 저하되어 감각을 잃는 경우가 생김
→ 발과 다리가 부패하는 괴저현상 → 다리 절단
- 자율신경계의 손상 → (소화기계) 위장관의 신경전달 이상으로 위정체와 위배출 지연
→ 영양소 배출 및 영양소 흡수 지연 → 혈당 조절에 나쁜 영향
'식품영양학 > 임상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상영양학 ] 14. 근골격계 질환 (2) | 2024.02.12 |
---|---|
[ 임상영양학 ] 13. 당뇨병 ② (1) | 2024.02.11 |
[ 임상영양학 ] 11. 섭식장애 (1) | 2024.02.10 |
[ 임상영양학 ] 10. 비만 (1) | 2024.02.10 |
[ 임상영양학 ] 9. 심혈관계 질환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