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장애
섭식장애의 정의와 종류
섭식장애 : 체중과 먹는 것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하며, 자신의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이상한 인식을 가지고 있어 섭식 행동에 이상을 초래하는 정신적 장애
(1) 신경성 식욕부진
: 의도적으로 굶거나 토하거나 운동을 많이 하여 체중을 조절
- 최소한의 정상체중 유지도 거부하면서 계속 음식 섭취를 제한
-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보유. 체중이 정상 이하로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인이 뚱뚱하다고 생각
- 본인의 저체중 상태(보통 정상 체중의 85% 이하)의 심각성을 부인함
- 먹는 만큼 살이 찐다는 생각을 가지고 음식의 섭취를 두려워함
- 무월경증
(2) 신경성 대식증 (폭식증)
: 폭식 후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부적절한 보상 행동 (의도적인 구토, 하제, 이뇨제 사용)을 2회/주 이상 3개월 동안 지속
- 자신의 폭식 행동을 부끄럽게 생각하며 자아 존중감이 낮은 경우가 많음
- 폭식을 할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음식을 먹으며, 먹는 것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함
- 체중은 정상범위 전후인 경우가 많음
- 대체적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의 발병시기보다 더 늦게 발병
섭식장애의 원인
환경적 요인
(1) 가족의 정서불안, 육체적 학대, 가족 간의 지지 부족 등
(2) 사회적, 문화적으로 날씬함을 동경하고 요구하는 분위기
(3) 어린 시절 체중 때문에 놀림 받은 기억 등
성격적 특성
(1) 강박적 성격을 가지거나 자존감이 낮은 사람
(2) 신경성 폭식증을 가진 사람들은 부정적인 경험이 많고 충동적인 성향을 갖는 경향이 있음
비만
과거에 체중이 많이 나갔던 사람이 어느 정도 체중 감소에 성공한 뒤에 섭식장애가 나타날 수 있음
섭식장애로 인한 건강 이상 증상
(1) 치아 부식
잦은 구토로 인해 위산이 치아를 부식시킴
(2) 전해질 이상
저칼륨증, 저마그네슘증, 저칼슘증 → 부정맥
(3) 골다공증
- 심각한 골밀도 감소, 조기에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이 높아짐
- 제한된 음식물의 섭취로 영양섭취 부족 → 골밀도 축적이 어려움
- 에스트로겐 분비의 이상 → 골밀도 감소에 기여
(4) 소화기계의 이상
- 위무력증과 변비가 흔함
- 하제를 많이 사용하여 습관성이 될 경우 자발적인 능력 손상
(5) 심혈관계 이상
- 느린 맥박, 부정맥, 저혈압
- 심장마비는 신경성 식욕부진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
(6) 호르몬 이상
- 호르몬 분비의 이상 → 우울증
- 여성 호르몬의 감소 → 무월경
(7) (신경석 폭식증으로 인한 손상) 식도염, 변비, 치아 부식, 부정맥
섭식장애의 치료
1.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영양치료
치료 목표
체중을 표준체중의 90% 정도 수준까지 증가시키고, 체중 감소 유발 행동을 멈추게 하고, 식습관 개선 및 정서적, 정신적 건강 증진
식사 계획
- 에너지 공급계획, 환자의 신체적 활동, 식사유형과 식습관 고려
→ 거부감 없이 식사에 적응하도록 하여 점진적인 체중 증가가 이루어지도록 함
- 1일 최소 1,200kcal 이상을 섭취하도록 함
-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 선택
- 수분, 전해질, 비타민, 무기질의 보충 필요여부 확인
- 칼슘, 비타민 D의 적절한 섭취
2. 신경석 폭식증의 영양치료
치료 목표
- 폭식과 강제 배설의 악순환 중단, 규칙적이고 정상적인 식습관 회복
- 대부분 환자의 체중은 정상범위에 속하므로 체중 증가에 중점을 둘 필요는 없음
식사계획
- 전해질 불균형, 탈수, 대사적 알카리증의 문제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조정하여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 유지
- 배고픔을 느끼지 않도록 식사량, 식사 횟수, 에너지를 배분하고, 적당량의 지방과 과일, 채소 등 부피가 많은 식품 이용
'식품영양학 > 임상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임상영양학 ] 13. 당뇨병 ② (1) | 2024.02.11 |
---|---|
[ 임상영양학 ] 12. 당뇨병 ① (1) | 2024.02.11 |
[ 임상영양학 ] 10. 비만 (1) | 2024.02.10 |
[ 임상영양학 ] 9. 심혈관계 질환 (1) | 2024.02.06 |
[ 임상영양학 ] 8. 신장 질환 2 (2)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