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피트니스

[ 유산소 운동 ] 수영과 다이어트 수영과 다이어트 우리에게 친근한 수영, 수영의 특징 및 다이어트 관점에서 간단히 알아보자 ! :) 수영 수영은 유산소 운동이면서 전신의 근육 전부를 사용할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관절에 체중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관절이 좋지 않거나 고도비만인 사람들에게 좋은 운동이다. 특히나 (고도)비만인 사람들에게 좋은 이유가 있는데, 보통 비만인 상태에서는 칼로리 소모를 높이기 위함과 다양한 운동의 제한 등으로 걷기, 달리기, 자전거 등의 하체운동이 메인이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비만인 사람들은 상체에는 근육이 아예 없을 수 있어도 하체에는 자기의 체중을 견디기 위한 최소한의 하체 근육들이 이미 발달되어 있다. 그 상태로 하체 운동으로 살을 빼면, 살을 뺐을 때 하체가 상체에 비해 두꺼워/비대해 보일 수밖에 없.. 더보기
[ 유산소 운동 ] 일립티컬, 줄넘기, (고정) 자전거, 로잉머신 일립티컬, 줄넘기, (고정) 자전거, 로잉머신 헬스장에서 보거나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 중 일립티컬, 줄넘기, (고정) 자전거, 로잉머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1. 일립티컬 일립티컬은 러닝머신 + 자전거 + 스텝퍼를 섞어 놓은 듯한 기구이다. 일립티컬 트레이너 및 크로스 트레이너라고도 하며, 하체운동과 동시에 상체운동도 가능한 점이 큰 특징이다. 일립티컬은 발을 붙인 상태로 움직임이 나타나기 때문에 관절/연골에 충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고도비만일수록 유리한 점). 다리/무릎이 정면이 아니라 측면으로 벌어져서 수행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 경우 무릎과 관절에 큰 부담이 된다) 부담이 적은 운동기구이다. 체중을 앞으로 실어서 : 발 앞부분으로 밟아 이동 시 무릎에 가해지는 압박이 커지므로 주의하.. 더보기
[ 유산소 운동 ] 런닝머신 vs 야외 달리기 런닝머신 vs 야외 달리기 우리가 흔히 런닝머신 / 러닝머신 이라고 말하는 트레드밀과 야외에서 하는 달리기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단히 알아보자 :) 런닝머신 = 러닝머신 = 트레드밀 (treadmill) 런닝머신은 날씨와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실내에서 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계 자체에 충격 완화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서 뛰는 것 자체에서 오는 부담도 야외 달리기보다는 적을 수 있다. 하지만 런닝머신은 같은 패턴으로만 달리기 때문에 방향을 틀거나 미세한 땅의 변화와 같은 지면에서 받는 자극도 다양하게 느낄 수 없다. 이에 따라 하체 및 전신의 모든 근육과 파워를 골고루 사용하기 어렵고, 관절의 특정 부위만을 지속적으로 피로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런닝머신 기계 자체가 .. 더보기
[ 유산소 운동 ] 걷기와 달리기 걷기와 달리기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운동인 걷기와 달리기의 장단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걷기 걷기는 쉽고 안전한 편이어서 노약자, 초보자, 비만인 분들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쉬운 만큼 소모하는 칼로리가 적다. 또한 체력이 극도로 약하거나 걷기도 힘든 상태 및 고령자 분들이 아니라면 심폐기능의 발달도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제한적이다). 그리고 걷기는 낮은 강도의 달리기가 아니다. 걷기와 달리기는 역학적으로 다른 동작이며 사용하는 근육이 다르다. 달리기는 고관절이 축이 되어 허벅지 앞뒤와 엉덩이, 허리 및 몸통 등 (파워존) 큰 근육을 주로 사용한다. 반면 걷기는 큰 근육보다는 종아리와 발목 근육을 주로 사용한다. 달리기는 몸 대부분 면적을 사용하여 큰 에너지를 소모하지.. 더보기
[ 헬스장 운동기구 ] 케틀벨, 밴드 그리고 요약 케틀벨, 밴드 그리고 요약 이번에는 바벨, 덤벨이 아닌 케틀벨과 흔히 세라밴드라고 불리는 밴드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고, 이전 프리웨이트/머신웨이트와 같이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 케틀벨 (kettlebell) 케틀벨은 러시아 쪽에서 덤벨처럼 사용되던 프리웨이트 운동기구이며, 비슷한 기구로는 둔기나 칼과 같이 휘두르는 클럽벨(clubbell)과 자루/포대와 같은 불가리안 백(bulgarian bag)이 있다. 일반적인 바벨/덤벨과 케틀벨/클럽벨/불가리안백의 차이는 무게중심의 분포이다. 바벨과 덤벨은 무게중심이 손안이나 바의 중심점에 있어 중량을 잡는 동작이 안정적인데, 반면 케틀벨과 클럽벨, 불가리안백은 무게중심이 손 바깥에 있어서 동작에 따라 중심점이 달라진다. 케틀벨을 이용한 운동은 대부분 스윙이라는.. 더보기
[ 헬스장 운동기구 ] 바벨, 덤벨, (케이블) 머신 바벨, 덤벨, (케이블) 머신 처음 헬스장을 가거나 아직 헬스장이 낯선 사람들은 운동하기 전, 다 비슷해보이는 운동 기구들과 도구들을 보며 무엇을 하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ex : '하체를 하긴 할건데.. 무엇으로 하는 게 좋지? 저거랑 저건 뭐가 다르지...?') 이 글을 통해 각 운동기구/도구의 장단점을 간단히 알아보자 :) 바벨, 덤벨 우선 둘의 공통점은 바벨과 덤벨은 양손으로 바(bar) / 손잡이를 쥐는 형식이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내손안이나 바의 중심에 들어온다. 그래서 같은 중량의 물건 등을 그냥 드는 것보다 악력을 덜 쓰기 때문에 다루기 쉬운 편이라는 것이다. 차이점은 바벨은 양손을 쓰기 때문에 지지점이 두 개라서 중심잡기가 쉬워 중심을 잡는 데 쓰이는 보조 근육이 .. 더보기
근력운동과 호흡법 근력운동과 호흡법 웨이트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호흡을 어떻게 해야 하고 어떤 게 좋은 건지 모를 수 있다. 그 부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 호흡법을 알아야 하는 이유 호흡법을 훈련해야 하는 첫 번째 이유는 우리 몸이 호흡관련 근육과 골격근에 동시에 힘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호흡관련 근육이 수축하면 (호흡을 들이마쉬면) 골격근은 이완되고, 반대로 호흡기가 이완되면 (호흡을 내쉬면) 골격근은 긴장/수축 상태가 된다. 그렇기에 호흡을 마시면서 힘을 주는 것이 아닌, 힘을 주는 동안 (무게를 드는 동안) 숨을 참고 있거나 혹은 살짝 뱉으면서 힘을 주려고 해야 한다. * 더 힘든 동작이 끝나면 호흡을 뱉고, 반대 동작을 하면서 마쉰다. ex) 스쿼트 시 앉는 것보다 일어나는 것이 .. 더보기
[ 심폐능력 ] 심장과 무산소 유산소 운동 심장과 무산소 유산소 운동 운동을 하면 심장의 근육도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발달하는데, 무산소운동 (근력운동) 이냐 유산소운동이냐에 따라 조금 다르게 발달한다. 그 부분을 간단히 알아보자 ! :) 근력운동과 심장 근력운동을 하면 운동을 하게 되는 특정 부위(근육)의 혈관은 산소 및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넓어지지만, 해당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그 외 부위의 혈관은 수축한다. 운동하는 특정 부위 외 나머지의 혈관의 수축 때문에 몸은 전반적으로 혈압이 올라가고 그에 따라 심장에서 피를 보낼 때 저항도 커진다. 수축된 / 좁아진 혈관에 피를 보내기 위해서는 강한 압력이 필요하고 그 압력은 피를 뿜어내는 좌심실이라는 곳의 벽을 통해 생성된다 ( = 강한 압력을 이겨내기 위해 심실벽이 두꺼워진다). 이..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