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학/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2. 건강증진의 발전과정 건강증진의 발전과정 1. 주요 국가의 건강증진 발전과정 [ 캐나다 ] 라론드 레포트의 등장으로 발전 ~ - 캐나다인의 건강에 관한 새로운 시각 제시 - 건강 결정요인에 대한 포괄적 개념틀 제시 : 인간생물학적 요인 / 생활양식 / 환경 / 보건의료 체계 - 향후 오타와 헌장(1986)으로 이어짐 [ 미국 ] - 건강증진의 대두 배경 : 막대한 보건의료자원 투입에도 건강수준 향상이 안되고, 경기침체로 인한 정부예산 지출 부담과 건강문제의 변화(감영성 질환 → 만성퇴행성 질환)로 인해 심장질환, 암, 뇌혈관질환 등 사망자가 전체 사망자의 70% 수준이 됨 (1970년대). - 미국의 건강증진 전략 : 생의 연장 / 삶의 질 향상 / 의료비 절감 이것을 목표로 한 것 헬시 피플 이라는 1979년 건강증진 및 .. 더보기 [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이해 1. 건강의 개념 일상 생활의 원천 / 개인 및 가족의 행복 조건 조직의 생산성 향상 조건 / 국가 발전의 원동력 건강의 정의 - 소극적 건강 : 질병이나 장애가 없는 상태 - 적극적 건강 :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 ( : 세계보건기구(WHO)) + 건강의 정의 (WHO 정의 이전) 버나드 : 외부 변화에 대해 내부환경의 항상성이 유지된 상태 파슨 : 각 개인이 사회적인 역할/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태 2. 건강증진의 개념 건강증진의 대두 배경 감영성 질환 (위생에 의한 문제) → 만성퇴행성 질환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 : 적극적 건강을 추구 (WHO 정의) 과거 (질병)치료중심의 관리 → 새로운 공중보건 전략으로 건강향상 / 증진 건강증진의 정의 증진 : 더하..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