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영양학/지역사회영양학

[ 지역사회영양학 ] 15. 외국의 영양정책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728x90

외국의 영양정책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외국의 영양정책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미국의 영양정책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1. 영양정책

초기 영양정책

저소득층에게 식품 공급 → 영양결핍 예방

1960년대 식품 구입 소득 보조 : 푸드스탬프 라는 것을 시작

1969년 농무성(우리나라 농림축산식품부와 유사한)에 식품영양부서 설치 : 보조프로그램 담당

 

국가연구심의회(National Research Council)

비감염성 만성퇴행성 질환이 국민건강에 큰 문제로 부상

1989년 '식사와 건강' 출판 → 식사가 건강에 미치는 중요성 천명

국민의 식품안정성 보장 + 건강증진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

 

 

2. 국민건강정책

Healthy People 2030

1990년 제정, 발표 후 지속적 개정, 실행 중

목표 카테고리

- 건강상태 : 심장병, 뇌졸중, 암 등

- 건강행동 : 영양과 건강한 식생활, 흡연, 신체활동 등

- 생애주기 : 청소년, 노인, 여성, 장애인 등

- 시스템 : 지역사회, 보건의료, 학교, 병원, 건강보험 등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 경제적 안정, 교육접근성, 의료접근성

 

 

3. 주요 정부부서와 사업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ire (농림축산식품부와 유사)

 

[ USDA 내 영양교육 ]

(1) 미국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 USDHHS(보건복지부와 유사)와 함께 5년마다 발표

(2) My Plate : 한 끼 식사를 구성하는 식품군에 대한 정보 제공. 우리나라 식품구성 자전거와 유사

(3) Team Nutrition : 학교, 보육시설 등의 어린이 급식을 영양적으로 우수하게 개선하고 건강한 식품선택과 신체활동을 돕는 프로그램

(4) SNAP-ED (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Education) : SNAP 수혜자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장보기, 요리실습 등에 관한 교육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식비운영 법을 교육

 

[ SNAP ]

- 과거  Food Stamp 사업의 명칭변경

- 1964년 ~ 전국실시

- 소득이 부족하여 충분한 식품 구매가 불가한 개인 혹은 가정에 소정의 금액을 지급하여 식품을 살 수 있게 함

 

[ 급식 프로그램 ]

- 부모 소득수준에 따라 저가 혹은 무료로 제공

- 영양권장량 가이드라인에 따라 하루 필요량의 1/3 제공

 

[ WIC ]

- Women, Infant, and Children

- 보충식품 제공, 의료기관으로 의뢰, 영양교육 제공

- 우리나라 영양플러스 사업의 모태

- 사업 평가 : WIC에 1달러 투자시 향후 의료비 4달러 절약

- 영양플러스와의 차이

(1) WIC용 신용카드로 일정금액 입금

(2) WIC approved 표시된 식품만 구매 가능

 

 

[ 식품 영양성분 표시제 ]

- 우리나라와 비슷하나 미국은 비타민 D, 칼륨이 추가되어 있음

 

4. 지역사회 영양활동

Meals on Wheels

대표적 노인영양 프로그램

가정으로 영양가 높은 식사 배달, 안전 확인

노인이 자신의 집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기간을 최대로 늘림

ㄴ 병원이나 시설 입소 시간을 최대한 늦춤

 

Food bank

기부받은 식품을 필요한 이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

ㄴ 식품안정성 문제 해결 목표

ㄴ 기부 식품에 대한 영양적 가이드라인 제시

 

 

 

일본의 영양정책과 지역사회 영양활동

1. 영양정책

중앙정부

후생노동성(보건복지부와 유사) : 식사섭취기준 등 영양정책 수립과 보건소 등을 통한 실행을 담당

농림수산성(농림축산부와 유사) : 식육 기본법에 근거하여 종합적인 식생활교육을 실행

 

후생노동성

(1) 식품가이드팽이 : 한국 식품구성자전거, 미국 My Plate에 해당

(2) 건강일본21 : 2014년부터 10년동안 실행, 건강 관련 주요 목표 존재

 

농심수산성

식육(식생활교육)기본법 담당, 식육추친 기본계획 5개년 계획으로 시행

중점사항 1. 일생을 통한 심신 건강을 지원하는 식육추진

중점사항 2. 지속가능한 음식을 지원하는 식육추진

중점사항 3. 새로운 일상과 디지털화에 대응한 식육추진

 

 

2. 지역사회 영양활동

메타보(metabolic syndrome) 저하 사업

대사증후군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캠페인

건강검진 시 허리둘레를 꼭 측정하게 함 (복부비만)

사업장의 건강보험혜택과 비만 감소율 연계, 지자체 보조금도 연계 등 꽤나 빡세게 시행

 

어린이식당

채소가게에서 남는 채소를 이용하여 동네 아이들에게 100엔에 식사를 제공한 것이 시초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에게 식사 제공

민간차원에서 전국적인 네트워크 운영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