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영양학/식사요법

[ 식사요법 ] 11. 빈혈

728x90

빈혈

빈혈

 

 

 

1.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혈액의 구성

혈액의 구성
혈액의 구성

 

- 적혈구 :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 운반

- 백혈구 : 식균작용으로 침입한 병원체 제거

- 혈소판 : 상처부위의 혈액 응고

 

 

적혈구

(1) 적혈구의 구조와 기능

- 양쪽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간 원반형

-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 : 폐에서 교환된 산소를 조직까지 운반

- 조직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중탄산염 형태로 폐까지 운반

 

(2) 적혈구의 대사

- 뼈의 골수에서 생성 / 핵,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 보유 X

- 평균 수명 120일 (단백질 합성, 세포 분열 등 X)

- 늙은 적혈구는 대식세포에 의해 식세포작용으로 분해, 헤모글로빈 구성분 대부분은 재사용되고 일부는 배출

 

(3) 헤모글로빈의 분해

- 글로빈 : 분해되어 아미노산 풀로 유입 → 타 단백질 합성

- 헴의 포르피린 고리 → 빌리루빈으로 전환(담즙색소) → 담즙으로 분비

- 헴 유리 철 → 트랜스페린 형태로 골수로 운반 → 새로운 적혈구 생성 혹은 간 등에 페리틴 형태로 저장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 구조

 

 

 

2. 빈혈의 정의

: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이 감소된 상태

 

원인

- 적혈구 크기/수 부족,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농도 감소

- 영양성 빈혈 : 조혈 영양소 (단백질, 철,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C 등)의 섭취 부족

- 비영양성 빈혈 : 출혈, 비정상적 유전적 소인, 만성 질병 및 약물중독 등

 

 

 

3. 빈혈의 진단

빈혈의 판정지표

(1) 적혈구 수

- 혈액 1ul에 들어있는 적혈구 개수

- 정상 : 성인 남자 450~650만개/ul, 성인 여자 390~560만개/ul

 

(2) 헤모글로빈 농도 (철 결핍 마지막 단계에서만 농도 감소)

- 혈액 100ml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의 중량(g)

- 정상 : 성인 남자 14~17g/ml (빈혈 < 13), 성인 여자 12~16g/ml (빈혈 < 12)

 

(3) 헤마토크리트 (용적)

- 전체 혈액 부피 중 적혈구가 차지하는 용적비율

- 정상 : 성인 남자 40~54% (빈혈 < 39%), 성인 여자 37~47% (빈혈 < 36%)

 

(4) 평균적혈구 용적 (MCV)

- 적혈구 1개의 평균 부피

- (헤마토크리트/100)/적혈구 수

- 정상 : 80~100fl/cell

 

(5)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MCH)

- 적혈구 1개가 가지고 있는 평균 헤모글로빈의 양

- 헤모글로빈 농도/적혈구 수

- 정상 : 26~34 pg/cell

 

(6) 평균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 (MCHC)

- 적혈구의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 헤모글로빈 농도/(헤마토크리트/100)

 

 

 

4. 빈혈의 분류

(1) 출혈에 의한 적혈구 손실

- 외상, 수술 등으로 혈액 손실 : 적혈구 크기나 혈구 내 헤모글로빈 농도는 정상 → 절대적인 산소 운반능력이 감소하여 빈혈 발생

- 수분과 함께 단백질, 철, 비타민 C 등 조혈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필요

 

(2) 적혈구 이상 또는 용혈성 적혈구

- 원인 : 헤모글로빈 이상, 일치하지 않은 혈액의 수혈, 박테리아와 기생충 감염, 비타민 E 부족 등 → 미성숙한 형태의 적혈구가 파괴/용해되어 발생

 

- 유전적으로 적혈구 형태가 비정상적인 경우 : 모세혈관 통과 시 파열 → 적혈구 수명 짧아져 빈혈 발생

 

(3) 적혈구 생성 부족

- 암, 방사선 등에 의한 골수의 파괴 → 적혈구 생성 X → 재생불량성 빈혈 유발

- 철 결핍성 빈혈 : 헤모글로빈이 적절하게 합성 불가 → 소혈구성 저색소성 빈혈 발생

- 거대적아구성 빈혈 :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에 의해 발생 → 골수에서 적아구(적혈구 모세포)가 느리게 생성

또한 DNA 합성 저해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에 문제

 

 

 

5. 철 결핍성 빈혈

체내 철의 대사

흡수율

- 헴철 (23~35%. 고기, 생선, 가금류), 비헴철 (3~8%)

- 흡수율 증진 : 고기, 생선, 가금류, 비타민 C 등

- 흡수율 저해 : 탄산, 수산, 인산 등

 

소화, 흡수, 이동, 저장

- 철은 소장 상부인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주로 흡수

- 소장 흡수세포에서 페리틴과 결합된 상태로 저장 → 혈액 내 트랜스페린과 결합하여 이동

철의 흡수와 대사

 

철 부족상태 3단계

- 제1단계 (철 저장량 고갈 단계)

혈중 페리틴 농도 감소, 철 흡수율 증가

 

- 제2단계(철 저장량 모두 고갈 단계, 빈혈 X)

트랜스페린 포화도 감소

적혈구의 프로토포르피린 농도 증가

 

- 제3단계(철 결핍성 빈혈 단계)

혈중 페리틴, 트랜스페린 포화도, 헤모글로빈 농도 감소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 농도 계속 증가

 

철 부족상태 및 대사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과 증상

- 빈혈을 장기적인 철 결핍의 마지막 단계

- 초기 징후 : 면역력 감소로 인한 감염

- 결핍 심화 시 피부 창백, 얇고 평평한 손톱, 설염, 연하곤란, 위염 등

- 장기간 미치료 시 조직에 산소 공급을 위한 심장 부담 가중으로 심부전 가능성 증가

 

 

철 영양상태 평가

결핍상태 평가

- 철 고갈단계 : 골수 내 철, 혈중 페리틴, 총 철 결합력, 철 흡수율 변화

- 철 결핍성 조혈단계 : 혈중 철, 트랜스페린 포화도,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 농도 변화

- 철 결핍성 빈혈단계 : 적혈구 크기와 색소 수준을 평가 → 소혈구성 저색소성 빈혈을 판정

 

 

철 결핍성 빈혈의 영양관리

(1) 하루 10~20mg의 철 복용 : 적혈구 생성속도 3배 증가 / 헤모글로빈 농도는 매일 0.2mg/dl씩 증가

(2) 제1철 형태 3개월간 경구투여 + 비타민 C는 철을 제1철 형태로 유지 (함께 섭취)

(3) 공복 시 투여가 효율적이지만 부작용 시 식사와 함께 보충

(4) 차나 커피 등에 함유된 탄닌은 철 흡수를 방해하므로 보충제와 함께 섭취하지 않기

(5) 쇠고기, 돼지고기, 새우, 바지락 등은 철의 급원 식품

 

 

 

6. 엽산 결핍성 빈혈

체내 엽산의 대사

체내 엽산의 대사

 

 

엽산 결핍성 빈혈의 원인과 증상

원인

- 장기간 엽산의 부적절한 섭취, 엽산의 이용과 흡수불량, 요구량 증가

- 알코올 : 엽산 접합효소 작용 저하 및 엽산의 장간 순환을 방해 → 알콜 중독자에게 엽산 결핍이 흔함

 

증상

- 거대적아구성 빈혈 유발

엽산은 DNA를 구성하는 티미딜산 합성에 관련 → 결핍 시 크고 미성숙한 적혈구세포 → 거대적아구성 빈혈 유발

- 메틸엽산 트랩 : 비타민 B12 결핍 시 5-메틸 THF 형태로 축적되고 이용 불가 → 2차적 엽산 결핍 유발

 

 

엽산 영양상태 평가

- 혈중 엽산(<3ng/ml) 농도로 판정

- 적혈구 엽산(<140ng/ml) 농도를 측정하여 판정

-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엽산 부족 시 증가) 활용 가능

 

 

영양관리

거대적아구성 빈혈의 치료

- 원인 파악 중요

- 보통 2~3주 동안 매일 1mg의 엽산 경구투여. 유지 시 하루 최소 50~100ug 섭취

- 신선한 과일과 채소는 엽산의 좋은 급원

 

 

 

7. 비타민 B12 결피 빈혈

체내 비타민 B12의 대사

소화 및 흡수

- 식품 중 비타민 B12 는 단백질과 결합된 상태 → 소화과정에서 위산과 펩신에 의해 유리됨

- 유리된 비타민 B12 는 R-단백질과 결합해 위 통과 → 소장에서 트립신에 의해 분리 → 위 분비된 내적인자(IF)와 재결합해 소장을 통과 → 회장에서 비타민 B12 만 흡수 → 혈액에서는 트랜스코발아민 2와 결합하여 순환

 

 

비타민 B12 결핍 빈혈의 증상과 원인

악성빈혈

- 비타민 B12 결핍에 의한 악성빈혈

혈액뿐아니라 소화관과 중추, 말초 신경계에도 증상 → 엽산 결핍성 빈혈과 구별됨

- 비타민 B12 는 육류, 가금류, 생선에 의해 충분히 제공 → 식사를 통한 비타민 B12 결핍은 흔하지 않음.

단, 엄격한 채식주의자의 경우 예외 → 따라서 대부분은 흡수장애인 경우가 더 많음

 

 

비타민 B12 영양상태 평가

비타민 B12 영양상태 평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