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기초미시경제론

[ 기초미시경제론 ] 4. 시장의 균형

728x90

시장의 균형

시장의 균형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의 결정

균형 :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

- 재화 시장에서의 균형 상태 : 시장수요량과 시장공급량이 일치하는 상태

- 이 상태에서의 가격이 균형 가격이고 이 상태에서의 생산량이 균형생산량

 

ex) 수요량 2,000개, 공급량 1,000개

초과수요상태 :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는 상태

초과수요량 : 수요량 - 공급량 = 2,000 - 1,000개 = 1,000개

초과수요 → 가격상승 → 수요량 감소, 공급량 증가 → 초과수요량 감소

초과수요가 존재하는 가격은 균형가격이 아님

 

ex) 수요량 1,000개, 공급량 2,000개

초과공급상태 :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상태

초과공급량 = 공급량 - 수요량 = 2,000개 - 1,000개 = 1,000개

초과공급 → 가격 하락 → 수요량 증가, 공급량 감소 → 초과공급량 감소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가격은 균형가격이 아님

 

* 가격이 균형가격 수준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가격이 변하지 않음

 

 

 

수요 및 공급 변화와 그에 따른 가격과 생산량의 변화

-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시장의 균형상태가 불균형 상태가 됨

- 불균형상태 : 초과수요나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상태

에서는 가격이 조정되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

- 외부적인 충격 : 가격 이외에 수요나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변화

- 외부적인 충격 → 수요나 공급이 변화 → 균형가격, 균형생산량 변화

 

 

<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별 접근법 >

(1) 어떤 변화가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지, 혹은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지를 판정 (아니면 둘 다 이동시키는지)

(2) 수요, 공급곡선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판정

(3)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

 

1. 수요 변화

수요 변화 곡선

 

A : 정상재의 경우 소득 증가

소득 증가 → 사과 수요 증가 → 사과 수요곡선 우측 이동

: 기존의 균형가격에서 초과 수요 발생 → 가격 상승 → 수요량 감소, 공급량 증가 → 초과수요량 감소

- 균형점이 E1에서 E2로 이동

- 균형가격 상승, 균형생산량 증가

- 다른 요인의 변화에 의해 수요가 증가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옴

 

B : 대체제의 가격하락

- 사과의 대체재인 배의 가격하락 → 사과수요 감소

- 기존의 균형가격에서 초과공급 발생 → 가격하락

- 균형점이 E1에서 E3로 이동

- 균형가격 하락, 균형생산량 감소

- 다른 요인의 변화에 의해 수요가 감소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옴

 

2. 공급 변화

 

공급 변화 곡선

 

- 임금 하락 → 사과 공급 증가 →  사과 공급곡선 우측 이동

- 기존의 균형가격에서 초과 공급 발생 →  가격 하락 →  수요량 증가, 공급량 감소 →  초과공급량 감소

- 균형점이 E1에서 E2로 이동

- 균형가격 하락, 균형생산량 증가

- 다른 요인의 변화에 의해 공급이 증가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옴

- 임금이 상승하면 반대의 결과

 

3.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변화

A. 수요, 공급 모두 증가

B. 수요, 공급 모두 감소

C. 수요 증가, 공급 감소

D. 수요 감소, 공급 증가

 

A. 수요, 공급 모두 증가

ex)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고 사과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의 가격 하락

수요와 공급 모두 증가 그래프

 

- 균형점은 E1에서 E2로 이동

- 수요 곡선의 이동 폭이 공급 곡선의 이동 폭보다 크면 균형 가격 상승

- 공급 곡선의 이동 폭이 수요 곡선의 이동 폭보다 더 크면 균형 가격 하락

- 수요 곡선과 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 폭과는 관계없이 균형생산량 항상 증가

* 수요의 증가 정도, 공급의 증가 정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명확한 표시나 자료가 없으면, 가격이 어떻게 변화할지 모른다가 정답.

 

C. 수요, 공급 모두 감소

 

수요 증가, 공급 감소 그래프

 

- 균형점은 E1에서 E2로 이동

- 수요 곡선의 이동 폭이 공급 곡선의 이동 폭보다 크면 균형 생산량 증가

- 공급 곡선의 이동 폭이 수요 곡선의 이동 폭보다 더 크면 균형 생산량 감소

- 수요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고 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 폭과는 관계없이 균형 가격 항상 상승

 

 

(B, D는 강의에서 패스하심)

 

A. 수요, 공급 모두 증가 → 균형 가격 불분명, 균형 생산량 증가

B. 수요, 공급 모두 감소 → 균형 가격 불분명, 균형 생산량 감소

C. 수요 증가, 공급 감소 → 균형 가격 상승, 균형 생산량 불분명

D. 수요 감소, 공급 증가 → 균형 가격 하락, 균형 생산량 불분명

(이것만 외우면 시험 등 때 매우 헷갈리다고 함. 단계를 거치고 그림을 그려봐야 ok 임)

 

 

 

가격통제 정책

1. 최고가격제 (가격상한제)

: 정부가 어떤 재화에 대해 가격의 최고치를 정하고 그 수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통제하는 정책

 

ex 아파트 분양가 규제

최고가격제 예시

 

- 균형가격 : 2억원, 균형생산량 : 10만호

- (규제로 인한) 최고가격 1억 5천만원 → 초과수요의 발생 → 선착순, 추첨제 진행

- 이득을 보는 사람 : 분양권 당첨자

- 분양권의 프리미엄 : 1억원

- 손해를 보는 사람 : 최고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라도 아파트를 사고 싶은데 당첨이 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전세나 월세를 구할 수 밖에 없는 사람

- 분양가 규제의 부작용 : 공급 축소로 인한 기존 주택의 가격 상승 주택 질의 하락

 

 

2. 최저가격제 (가격하한제)

: 정부가 어떤 재화에 대해 가격의 최저치를 정하고 그 수준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통제하는 정책

 

ex 최저임금제

 

최저임금제 예시

 

최저임금제의 긍정적인 효과 :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저임금 근로자들의 소득을 증가시켜 그들의 생활이 안정됨

최저임금제의 부정적인 효과 : 노동의 초과공급으로 인해 실업이 발생하고 장기적으로 기업의 노동 수요 감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