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가능곡선과 절대우위 및 비교우위
1. 생산가능곡선
개념
- 한 사회가 주어진 자원과 생산기술 하에서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재화의 크기를 보여주는 곡선
- 자원배분의 첫 번째 기본문제인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를 시각적으로 잘 설명
- 실제로 수많은 재화가 생산되고 있지만 곡선으로 나타내기 위해 주택과 쌀만 생산된다고 가정
주택 생산 증가를 위해, 주택 생산에 투입되는 자원의 양을 증가시켜야 함 → 전체 자원의 한정 상태로 쌀 생산에 대한 자원의 투입량을 줄여야 함 → 쌀의 생산은 줄어들 수밖에 없음
= 주택을 더 생산하기 위해 쌀의 생산을 포기 → 기회비용
기회비용
: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지 중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것.
ex) 주말 방통대 출석 수업을 수강하는 비용 : 교통비와 점심값+?
ex) 학교에 가지 않으면 그 시간에 다른 일을 할 수 있음 → 다른 일 중 편의점에서 알바 후 5만원을 벌거나 or 친구와 놀 수 있다고 가정 → 편의점 알바와 친구와 노는 시간을 동시에 보낼 수 없기에, 편의점 알바와 친구와 노는 시간 모두를 기회비용에 포함시켜서는 안 됨
= 그 두 가지 중 학교에 안 갔을 때 선택하는 것이 기회비용 !
곡선의 형태
-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한 재화의 생산이 증가하면 다른 재화의 생산이 감소 → 우하향의 기울기
- 주택 생산량 증가에 따라 주택 한 채 생산 증가를 위해 쌀의 생산량이 더욱 감소 (주택 생산량 증가 시 쌀농사에 더 유리한 토지와 쌀농사에 능숙한 사람들이 주택 건설에 투입되므로 쌀 생산량이 더 많이 감소)
한계비용 : 재화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
- 어떤 재화든지 생산초기에는 그 재화의 생산에는 적합하고 다른 여타 재화의 생산에는 부적합한 자원이 배분 → 한계비용이 적음
- 생산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다른 재화의 생산에는 적합하지만 그 재화의 생산에는 부적합한 자원을 사용할 수밖에 없음 → 한계비용 증가
- 수평축에 있는 변수 (주택의 생산량) 가 증가할수록 기울기가 증가 (한계비용이 증가하기 때문) → 원점에 대해 오목
- 한계비용이 증가한다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됨을 의미
생산의 효율성과 경제 성장
- 생산가능곡선 상에 위치한 모든 자원을 투입하여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생산량 : 생산이 효율적으로 되고 있다고 정의
- 생산가능곡선 안에 위치하는 점은 생산이 비효율적인 점
생산이 비효율적이 되는 경우
(1) 모든 자원(생산요소)이 생산에 투입되지 않는 경우, 즉 생산요소가 완전히 투입되지 않는 경우
(2) 생산요소가 적재적소에 투입되지 않는 경우
ex) 택지로 이용하는 것이 적절한 토지가 정부의 규제로 인해 농지로 이용되는 경우
규제 완화 → A에서 C로 생산점 이동
- E는 생산가능곡선 밖에 위치 : 이 점이 나타내는 생산량은 현재의 주어진 자원과 기술수준 하에서는 생산이 불가능
- 자원의 양이 증가하거나 기술수준이 향상되면 경제의 생산능력이 확대되어 E도 생산이 가능
- 경제 성장 → 생산가능곡선이 우상향으로 확장
2. 절대우위
ex)
김씨의 생산량 : 시간 당 옥수수 10kg, 고등어 2kg
박씨의 생산량 : 시간 당 옥수수 2kg, 고등어 10kg
* 하루 8시간 노동을 한다고 치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그려짐
A = 노동 4시간 기준 자기가 원래 생산하는 방식대로 생산했을 때
B = 거래를 함으로써 (자기가 잘하는 거에 생산을 전념하고 거래를 하는 것) 시간대비 두 품목 다 기존보다 많이 얻게 됨
- (김씨와 박씨간의) 거래가 없다면 생산가능곡선 = 소비가능곡선(자기들이 생산하고 먹던 뭐하던) 이 된다.
- 기회비용이 일정하므로 생산가능곡선은 직선이 된다.
* 호섭 : 쉽게 생각하면, 김씨와 박씨가 둘이 팀이라고 생각하면, 자기가 더 잘 생산하는 것만 생산해서 교환하는 것이 기존대로 섞어서 생산하는 것보다 훨씬 이득.
ex)
기존 김씨, 박씨 모두 8시간 중 4시간을 옥수수 생산에 투입하고 나머지 4시간을 고등어 생산에 투입한다고 가정하면,
김씨는 옥수수 40kg, 고등어 8kg을 생산/소비하고
박씨는 옥수수 8kg, 고등어 40kg을 생산/소비 하는데
( * 거래가 없다면 이 생산량이 소비량이 된다.)
시간당 생산량을 고려하여 시간대비 각자가 더 잘 생산하는 것에만 시간을 쓰면,
김씨는 옥수수 80kg (고등어 0kg), 박씨는 고등어 80kg (옥수수 0kg) 을 생산/소비 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생산방식의
김씨(8시간 노동) + 박씨(8시간 노동) = (옥수수 40+8) + (고등어 8+40) = 옥수수 48kg, 고등어 48kg 와 다르게
(옥수수 80+0) + (고등어 0+80) = 옥수수 80kg, 고등어 80kg 이므로 훨씬 더 생산/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 절대 우위 : 동일한 양의 생산요소(ex 노동시간)를 투입하였을 때 생산량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
김씨는 옥수수 생산에 있어서, 박씨는 고등어 생산에 있어서 절대우위를 가지고 있음.
각자 절대우위에 있는 재화의 생산에 특화하고 거래를 하면 모두 소비량(생산량)이 증가함.
- 거래가 일어나면 소비점이 소비가능곡선 밖에 위치하게 됨
3. 비교우위
ex)
김씨의 생산량 : 시간 당 옥수수 10kg, 고등어 2kg
박씨의 생산량 : 시간 당 옥수수 15kg, 고등어 10kg
박씨는 옥수수 생산과 고등어 생산 모두에 있어서 절대 우위를 가지고 있음
A = 노동 4시간 기준 자기가 원래 생산하는 방식대로 생산했을 때
B =
기존 김씨, 박씨 모두 8시간 중 4시간을 옥수수 생산에 투입하고 나머지 4시간을 고등어 생산에 투입한다고 가정하면,
김씨는 옥수수 40kg, 고등어 8kg을 생산/소비하고
박씨는 옥수수 60kg, 고등어 40kg을 생산/소비 하는데
( * 거래가 없다면 이 생산량이 소비량이 된다. )
시간당 생산량을 고려하여 생산 및 거래를 잘 하면 더 득이될 수 있다.
→ (8시간 노동 중) 김씨는 옥수수 생산에 전념하고 박씨는 2시간을 옥수수 생산에 투입, 나머지 6시간을 고등어 생산에 투입 → 김씨가 생산한 옥수수 80kg 중에서 35kg과 박씨가 생산한 고등어 60kg 중에서 10kg을 교환
= 아래와 같은 결과
- 비교 우위 : 다른 생산자에 비해 같은 재화를 더 낮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김씨의 기회비용
옥수수 1kg의 기회비용 = 고등어 0.2kg
고등어 1kg의 기회비용 = 옥수수 5kg
박씨의 기회비용
옥수수 1kg의 기회비용 = 고등어 2/3kg
고등어 1kg의 기회비용 = 옥수수 1.5kg
( 약간 시간당 생산량으로 봐도 될 듯? )
옥수수 생산에 있어서는 김씨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고, 고등어 생산에 있어서는 박씨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음
- 모든 사람이 각자 자기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 재화의 생산에 특화한다면 경제의 총생산량은 증가
( 뭔가 좋은 말 같은.. 누구보다 특출나지 않아도, 자기 자신이 (다른 행동에 비해)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노력하거나 활동하면 그것이 자기 자신에게도, 다른 사람/사회 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의 느낌이 들었음 )
'경제학 > 기초미시경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초미시경제론 ] 4. 시장의 균형 (0) | 2024.03.30 |
---|---|
[ 기초미시경제론 ] 3. 수요와 공급 (2) | 2024.03.23 |
[ 기초미시경제론 ] 1. 그래프와 자원의 희소성 (0) | 202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