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와 공급
수요
1. 개념
: 어떤 재화에 대한 개인의 수요량 = 재화의 가격을 보고 그 개인이 일정기간 동안 구입할 의도가 있는 양
'수요' 와 '소비'는 같지 않다. 수요는 얼마나 사야지 생각하는 것, 소비는 산 것
2. 수요의 법칙과 수요곡선
- 수요량은 가격의 함수 : 가격이 변하면 수요량도 변함
-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은 감소, 가격이 내리면 수요량은 증가 = 역의 함수관계
- 수요곡선 : 수요표가 보여주는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ex)
* 보통 우리가 알고 배운 수학 등의 그래프에서는 x = 독립변수 (수평축), y =종속변수 (수직축)
경제 그래프에서는 독립변수인 가격이 x가 아니라 y축 ...! 참고 ~
3. 가격 이외에 수요량을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소득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 변하면 소비하는 재화들의 수요량도 변함
- 정상재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량이 증가하는 재화 ex) 명품처럼 사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못 사는 재화
- 열등재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량이 감소하는 재화 ex) 짝퉁처럼 돈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구입하는 재화, 돈이 없어서 버티기 위해 먹는 (컵)라면 (돈이 많으면 더 맛있고 좋은 음식을 먹음)
(2) 연관재의 가격
- 대체재 : A재의 가격이 상승(하락)할 때 B재의 수요량이 증가(감소)하는 경우 A재와 B재는 서로 대체재
ex) 사과와 배, 버스와 지하철, 소주와 맥주, 영화 관람과 스포츠 경기 관람
- 보완재 : A재의 가격이 상승하면 B재의 수요량이 감소하고 A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B재의 수요량이 증가하는 경우 A재와 B재는 서로 보완재 ex) 자동차와 휘발유, 치킨과 맥주, 영화 관람과 팝콘
(3) 소비자의 선호
새로운 정보 습득 → 소비자의 선호 변경 → 수요량 변화
(4) 미래에 대한 기대
현재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주택의 실수요량은 감소하지만 주택에 대한 투자 수요량은 증가함
4.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가격 변화로 인해 수요량이 변하는 효과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로 나눌 수 있음 ( 이 두 가지로 현상을 증명 가능 )
- 대체효과 :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락)하면 그것의 수요량은 감소(증가)하고, 대신 대체재 수요량이 증가(감소)하는 효과 ex) 사과가 싸면 가격이 변하지 않은 배에 비해 사과가 싸니까 배를 덜 사는 대신 사과를 더 구입함
- 대체효과 → 가격과 수요량은 항상 역의 함수 관계에 있다.
소득에는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두 가지가 있다.
- 명목소득 : 화폐액으로 표시된 소득으로서 월급 통장에 찍히는 금액
- 실질소득 : 명목소득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나타내며 실질구매력으로 표현
명목소득은 그대로인데 한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구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감소하므로 실질소득은 감소
가격상승 → 실질소득 감소
가격하락 → 실질소득 증가
- 소득효과 : 한 재화의 가격 변화에 따른 실질소득 변화가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
정상재의 소득 효과 : 가격상승 → 실질소득 감소 → 수요량 감소 (역의 함수 관계)
열등재의 소득 효과 : 가격상승 → 실질소득 감소 → 수요량 증가 (정의 함수 관계)
정상재 :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모두 가격과 수요량 간에 역의 관계
열등재 : 대체효과는 역 관계, 소득효과는 정 관계
-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가격과 수요량은 역의 관계 or 정 관계를 가짐
- 현실적으로 소득효과가 큰 열등재라도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적으므로 가격과 수요량 간 정의 관계를 보여주는 재화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 이론적으로는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큰 열등재가 존재할 수 있음
기펜재 :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더 큰 열등재로서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재화
5.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
* 수요량의 변화 = '가격이 변했을 때' 의 양/량 변화
ex) 사과 가격이 변하면 사과 수요량이 변화
* 수요의 변화 = '가격 이외의 요인이 변하면' 각 가격 수준에서 수요량이 변하는 것
ex) 소득 증가 → 정상재의 수요 증가 → 수요곡선 우측 이동
* 수요가 증가해서 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 정상재의 경우 소득 증가
- 열등재의 경우 소득 감소
- 대체재의 가격 상승
- 보완재의 가격 하락
6. 개별 수요와 시장 수요
개별수요 : 각 개인들의 수요
시장수요 : 개별수요의 합
개별 수요곡선이 변하면 (ex 우하향), 시장 수요곡선도 같이 변한다 (ex 우하향).
공급
1. 개념
: 어떤 재화에 대한 한 기업(큰 회사 말고도 생산자들 포함)의 공급량 = 그 재화의 가격을 보고 그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생산할 의도가 있는 양
2. 공급의 법칙과 공급곡선
공급의 법칙 : 어떤 재화의 가격 상승 → 기업의 공급량 증가, 재화의 가격 하락 → 기업의 공급량 감소
공급곡선 : 공급량과 가격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 (역시나 공급표가 있어야 함)
3. 가격 이외에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생산요소의 가격
생산에 필요한 생산요소의 가격이 증가하면 재화 가격이 그대로여도 공급량은 감소
반대로 생산요소 가격이 하락하면 생산량을 늘릴수록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으므로 가격은 그대로여도 공급량은 증가
(2) 기술수준
기술 수준의 향상은 기업의 비용이 절감되므로 재화의 가격이 그대로 있더라도 공급량은 증가
(3) 정부정책
ex) 최저임금제도, 영업시간규제, 법인세율 인상 등
4.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 가격변화 → 공급량의 변화
- 가격이외에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변화 → 공급의 변화
공급이 증가해서 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산요소 가격의 하락
기술수준의 향상
공급이 감소해서 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산요소 가격의 상송
기술 수준의 후퇴
5. 개별공급과 시장공급
개별 공급 : 한 기업의 공급
시장 공급 : 개별공급의 합
개별 공급곡선이 변하면 (ex 우상향), 시장 공급곡선도 같이 변한다 (ex 우상향).
'경제학 > 기초미시경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초미시경제론 ] 4. 시장의 균형 (0) | 2024.03.30 |
---|---|
[ 기초미시경제론 ] 2. 생산가능곡선과 절대우위 및 비교우위 (1) | 2024.03.16 |
[ 기초미시경제론 ] 1. 그래프와 자원의 희소성 (0) | 202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