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영양학/식사요법

[ 식사요법 ] 2. 식품교환법 실습

728x90

식품교환법 실습

식품교환법 실습

 

 

 

식단계획과 식품교환표

1. 식품교환표의 이해

식품교환표

 

식품교환표 예시

 

-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주요 식품들을 열량, 당질, 단백질, 지방의 구성이 비슷한 것끼리 나누어

6가지 식품군으로 묶은 표

-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과일군 으로 구성

-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식품을 교환할 경우에는 같은 군끼리만 바꾸고, 같은 교환단위량으로 바꾸어야 함

 

2. 식품 교환단위당 영양성분

(1) 곡류군

- 밥, 죽, 알곡, 밀가루, 전분, 감자 류 및 이들로 만든 식품 포함

- 1교환단위당 열량 100kcal, 탄수화물 23g, 단백질 2g 함유

 

쌀밥, 보리밥 70g (1/3공기)

쌀죽 140g (2/3공기)

삶은 국수 90g (1/2공기)

감자 140g (중 1개), 고구마 70g (중 1/2개)

떡류 50g

 

(2) 어육류군

- 고기, 생선, 콩, 알, 해산물 등과 이들로 만든 식품 포함

- 1교환단위당 8g의 단백질 함유

- 지방 함유량에 따라 저지방군, 중지방군, 고지방군으로 재분류

저지방군 : 단백질 8g, 지방 2g, 열량 50kcal

중지방군 : 단백질 8g, 지방 5g, 열량 75kcal

고지방군 : 단백질 8g, 지방 8g, 열량 100kcal

 

고기류 40g (소 1토막)

생선류 50g (소 1토막)

두부 80g (420g 포장두부의 1/5모)

계란 55g (중 1개)

치즈 30g (1.5장)

 

(3) 채소군

- 채소, 해조류 및 이들로 만든 식품 포함

- 1교환단위당 열량 20kcal, 탄수화물 3g, 단백질 2g 함유

- 비교적 열량이 적으며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가 많아 충분히 섭취하도록 권장

 

대부분의 채소료 70g

버섯류 50g

김치류 50g

 

(4) 지방군

- 식물성 기름, 고체성 기름, 견과류, 씨앗, 드레싱 등의 식품 포함

- 1교환단위당 열량 45kcal, 지방 5g 함유

- 적은 양의 섭취로도 높은 열량을 내므로 주의가 필요

 

견과류 8g

식물성 기름류 5g

드레싱류 10g

 

(5) 우유군

- 우유, 두유, 분유 등이 주요 식품으로 포함

- 1교환단위당 탄수화물 10g, 단백질 6g 함유

- 지방 함유량에 따라 일반우유군과 저지방우유군으로 재분류

일반우유군 : 탄수화물 10g, 단백질 6g, 지방 7g, 열량 125kcal

저지방우유군 : 탄수화물 10g, 단백질 6g, 지방 2g, 열량 80kcal

 

우유류 200g

 

(6) 과일군

- 과일, 과일통조림, 과일주스 등 포함

- 1효관단위당 열량 50kcal, 탄수화물 12g 함유

- 비타민과 식이섬유소의 함량 풍부, 단순탄수화물이 많으므로 혈당조절이 필요한 경우 주의

 

 

식품교환표 실습

1. 영양기준량의 결정

(1) 표준체중의 결정

남자 : 표준체중(kg) = 키(m)의 제곱x22

여자 : 표준체중(kg) = 키(m)의 제곱x21

표준체중 예시

 

 

(2) 비만도 판정

- 저체중 (18.5 미만)

- 정상 (18.5~22.9)

- 비만 전 단계 (23~24.9)

- 비만 (25 이상)

 

(3) 비만도와 활동도를 고려한 단위체중당 열량 선택 (kcal/kg)

 

단위체중당 열량 선택 (kcal/kg)

 

하루 총 필요 열량 = 현재 체중 x 단위체중당 열량

 

하루 총 필요 열량 측정

 

(4) 다량영양소의 기준량 결정

-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 19세 이상 성인은 총 열량 섭취량의

55~65%를 탄수화물로부터, 7~20%를 단백질로부터, 15~30%를 지방으로부터 섭취 권장

- 3가지 다량영양소 비율의 합이 100%가 되도록 설정

 

2. 각 식품군의 교환단위 수 결정

열량 1,800kcal, 탄수화물 270g, 단백질 90g, 지방 40g인 사례

 

(1) 채소군, 우유군, 과일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채소군, 우유군, 과일군의 교환단위 수 선정

 

(2) 곡류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곡류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3) 어육류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어육류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4) 지방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지방군의 교환단위 수 산정

 

3. 끼니별 교환단위 수 배분

결정된 섭취 교환단위 수를 세 끼니와 간식으로 배분

 

끼니별 교환단위 수 배분

 

4. 식품 선택 및 식단 완성

각 식품군별로 식품을 선택하여 끼니별 교환단위 수를 확인한 후 식품별로 교환단위 수를 배정한 다음

1교환단위당 중량을 곱하여 실제 제공량을 계산

 

식품 선택 및 식단 완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