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호르몬 ③ 인슐린, 글루카곤
신경계는 전기적이고 적극적이며, 호르몬은 수동적이고 화학적인 신호체계이다.
운동과 근육의 움직임에는 이런 전기신호와 화학신호들이 바탕이 된다.
운동과 관련된 대표적인 호르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운동과 관련한 대표 호르몬 ③
인슐린 (insulin)
인슐린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당분을 세포 내로 끌어들여 혈당을 낮춘다.
코르티솔(코티졸) 혹은 카테콜아민과는 반대로 세포 내 물질이 혈관으로 나오지 못하게 막고 (분해를 막는 것), 혈관에 있는 물질을 세포 내로 넣는 역할을 한다. 당(포도당, 혈당)을 주로 다루지만, 혈액내 지방을 체지방 세포 안으로 밀어 넣고, 근육 성장을 유도하는 신호 과정에서도 단백질과 함께 관여한다. 즉 근육의 회복과 성장 (합성), 체지방 형성을 촉진한다.
운동을 하면 코르티솔과 카테콜아민이 나오면서 인슐린 농도는 낮아지지만, 세포들이 인슐린에 예민해져서 소량의 인슐린으로도 강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인슐린 민감도 상승).
* 인슐린이 비만의 원인이라는 말이 있었어서, 탄수화물을 제한해 인슐린 분비량을 낮추는 등의 방법이 소개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 탄수화물 위주로 먹든, 지방 위주로 먹든 총 섭취 열량과 단백질 섭취량이 같다면 체중 변화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한다. 인슐린이 체지방 축적에 관여하는 건 맞지만, 사용 후 남은 에너지(열량)를 저장할 뿐이다.
창고에 재고품이 쌓인 주된 원인은 너무 많이 만들었거나 팔리지 않아서이지 창고관리인 탓이 아니다. 체중 관리의 첫 단계는 총열량(총섭취량 / 총칼로리) 관리다.
글루카곤 (glucagon)
글루카곤은 인슐린과는 정반대의 역할을 한다. 췌장의 알파 세포에서 분비되며, 간에 저장되어 있는 당을 분해해 혈당을 높이고 지방 분해를 촉진한다. 특히 단백질을 섭취할 때 글루카곤 분비량이 많아진다.
인슐린이 전신에 걸쳐 작용하는 반면, 글루카곤은 주로 간에 영향을 미친다.
둘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만 각자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호르몬이기도 하다.
'피트니스 > 간단 운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운동과 호르몬 ] 운동과 호르몬 변화 (0) | 2023.08.14 |
---|---|
[ 운동과 호르몬 ] 안드로겐(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0) | 2023.08.13 |
[ 운동과 호르몬 ] 코르티솔(코티졸), 카테콜아민(아드레날린, 도파민) (0) | 2023.08.09 |
[ 운동과 호르몬 ] 호르몬과 수용체, 성장호르몬과 IGF-1, 갑상선호르몬 (0) | 2023.08.08 |
[ 운동과 신경 ] 운동 신경 (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