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영양학/지역사회영양학

[ 지역사회영양학 ] 5. 지역사회 요구진단

728x90

지역사회 요구진단

지역사회 요구진단

 

 

 

1. 지역사회 요구진단의 개념

지역사회의 건강/영양문제를 파악 (요인, 요구를 찾는 과정)

영양사업(프로그램) 계획 및 수행 이전에 실시

 

지역사회 요구진단의 목표

대상 확립 / 영양 및 건강 문제 파악 / 환경 요인 파악 /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요구도 파악

 

 

 

2. 지역사회 요구진단의 과정

PRECEDE-PROCEED 모델

보건 및 영양관련 사업의 요구진단, 계획, 실행, 평가에 활용

프리시드와 프로시드 2 과정으로 구분, 총 8단계

 

PRECEDE

Predisposing(동기부여요인)

Reinforcing(강화요인)

Enabling(행동가능요인)

Construct in Educational-Diagnosis and Evaluation

: 대상집단의 요구를 파악하는 과정

 

PROCEED

Policy(정책)

Regulatory(규제)

Organizational(조직)

Construct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 요구진단에 따라 계획한 영양사업(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

 

PRECEDE-PROCEED 모델

 

(1) 사회진단 :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관심사를 파악

(2) 역학진단 : 객관적인 통계자료(수치)를 통해 삶의 질과 관련된 건강문제 파악

(3) 교육/생태 진단 : 유전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 파악

(4) 행정/정책 진단 : 영양사업(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관의 정책 및 행정 진단

 

단계별 요구진단의 내용과 방법

1. 지역사회의 건강문제 또는 영양문제 탐색

2. 지역사회 영양문제 및 관련 식행동과 환경 파악

3. 식행동과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4. 기존 프로그램 파악

 

지역사회 요구진단 관련 자료

1. 자료의 분류 (1차 자료 : 연구자가 직접 수집, 2차 자료 : 국가나 유관 단체 등에서 이미 수집된 자료)

2. 우리나라의 가용 2차 자료 (통계청, 보건복지부)

3. 주요 국가 지표 (식품군별 섭취량 / 영양소 섭취량 / 단백질, 지방, 당질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량 구성비율 / 비만 유병률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728x90